[SVB 파산 후폭풍] 美은행 일주일새 세번째 폐쇄
실리콘밸리은행 폐쇄 이틀 만인 12일(현지 시간) 가상화폐 기업들의 주거래 은행으로 자산 규모 1100억 달러(약143조 원)인 미국 시그니처은행도 폐쇄됐다. 사진은 문 닫힌 시그니처은행 뉴욕지점. 뉴욕=AP 뉴시스
뉴욕에 기반을 둔 시그니처은행은 팬데믹 기간 ‘큰손’으로 부상한 가상화폐 기업을 대상으로 거래를 늘리며 성장했다. 자산 규모는 약 1103억 달러(약 146조 원)로 미 은행 순위 29위의 중소형 은행으로서 틈새시장을 찾은 것이다.
지급 불능 사태에 빠진 실리콘밸리은행(SVB) 폐쇄 이틀 만인 12일(현지 시간) 뉴욕주는 시그니처은행을 폐쇄 조치했다. 다음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증시가 개장하는 13일 월요일 시장 혼란을 차단하기 위해 선제적 조치에 나선 것이다. 미 연방정부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쓰지 않은 ‘예금 전액 보증’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그러나 38년 역사의 샌프란시스코 중소 은행 퍼스트리퍼블릭(FRC)도 생사 기로에 내몰리며 긴급 자금 지원을 받는 등 위기 확산 우려는 가시지 않고 있다.
● 미 연방정부 유동성 지원 왜
미 연방정부 금융시장과 관련된 수장들은 주말 내내 대책회의를 했다.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12일 금융안정감독위원회(FSOC)를 소집했고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과 게리 겐슬러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마틴 그루엔버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의장, 로스틴 버냄 상품선물거래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특히 SVB의 고객이 미 테크 스타트업에 집중돼 있어 줄도산 우려가 깊어지자 조 바이든 대통령과 옐런 장관, 파월 의장 등이 나서 예금보증 및 추가 유동성 지원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등 실리콘밸리 스타트업계 주요 인사들은 정부가 개입해 예금을 보전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FDIC는 당초 12일 오후 2시까지 SVB 매각을 시도했지만 매수 희망자들이 발을 빼 사실상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특정 은행의 파산이 광범위한 금융권 리스크를 초래할 경우’ 보증 한도(25만 달러)를 초과한 예금도 보호할 수 있다는 연방예금보험법 조항을 이용해 SVB와 시그니처은행을 보증해주기로 한 것이다.
바이든 미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인과 미국 기업은 필요할 때 예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신뢰를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 연준발 고금리 리스크 커지나
이번 SVB 폐쇄 사태가 팬데믹 거품과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따른 보유자산 가치 하락이 원인이 된 만큼 연준은 은행에 긴급 유동성을 제공해주는 기금인 ‘BTFP(Bank Term Funding Program)’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보유 국채나 주택저당증권(MBS)을 액면가 담보로 제공해 연준으로부터 1년 동안 무제한 돈을 빌릴 수 있게 됐다. 40년 만의 고금리 국면에 따른 ‘금융시스템 위기’를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다만 미 금융 당국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익률이 높은 부실채권에 투자해 시스템 위기를 초래한 금융기업을 구제해 ‘대마불사’ 비판이 쏟아진 점을 감안해 이번 지원이 세금으로 금융기관을 살리는 구제금융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연준과 미 재무부는 성명에서 “투자자와 채권자는 지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 금융당국의 긴급 개입에도 40년 만의 연준발 고강도 긴축에 따른 위험은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른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빌 애크먼 퍼싱스퀘어 창업자는 “연준의 SVB 개입에도 더 많은 금융기관이 붕괴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팬데믹 시기 급성장했다 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직격탄을 맞은 테크, 가상화폐, 부동산 관련 금융 기관에서 위험이 확산될 우려도 제기된다.
뉴욕=김현수 특파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