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 안 한국야구] 2009년 WBC 구속 차이 ‘0.6km’… 올 대회선 ‘7.6km’ 크게 벌어져 日, 탄탄한 기본기-선진 기술 도입… 스피드에 제구력도 갖춰 ‘세계 최강’ 韓, 외국인 의존 시스템부터 바꿔야
2009년 열린 제2회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때 한국 투수들의 패스트볼 계열 평균 속도는 시속 146.3km였다. 8강 진출국 중 2위로 선두 일본(평균 146.9km)과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 대회에서 일본이 우승, 한국은 준우승을 차지했다.
14년이 지난 2023년 제5회 WBC에서 일본 투수들은 패스트볼 평균 시속 153.5km를 기록했다. 도미니카공화국(평균 153.7km)에 근소하게 뒤진 2위다. 한국은 145.9km로 오히려 퇴보했다. 대회에 참가한 20개국 가운데 16위에 머물렀다. 조별리그에서 같은 조에 속했던 호주(17위·144.7km), 체코(19위·139.6km), 중국(20위·138.4km)을 앞섰을 뿐이다.
올해 WBC에서 일본은 2006년, 2009년에 이어 통산 세 번째 정상에 올랐다. 반면 한국은 2013년, 2017년에 이어 3연속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한때 일본 야구는 한국을 ‘숙적’이자 ‘라이벌’로 여겼다. 하지만 지금은 라이벌로 불리기에는 수준 차가 너무 크다. 이제 한국과 일본의 패스트볼 속도 차이(7.6km)가 한국과 중국의 차이(7.5km)보다 크다.
● 뛰는 일본, 기는 한국
오타니 쇼헤이(LA 에인절스)
물론 구속이 전부는 아니다. 류현진(토론토)은 LA 다저스 시절이던 2019년 140km 중후반대의 패스트볼에 다양한 변화구를 앞세워 MLB 전체 평균자책점 1위(2.32)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류현진조차 패스트볼에 힘이 떨어지면 변화구의 위력이 반감되며 난타당하곤 했다.
● 외국인 투수에게 의존하는 한국 야구
대회 개막 전부터 한국 투수진은 ‘역대 최약체’라는 평가를 들었다. “언제까지 광현종이냐”란 소리를 들으면서도 김광현(SSG)과 양현종(KIA)을 뽑아야 했다.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지난해 평균자책점 10위 가운데 7명이 외국인 투수였다. 구단들도 젊은 투수를 육성하기보다는 즉시 전력으로 활용 가능한 외국인 투수 선발에 열심이다. 수도권의 한 구단 스카우트는 “현재 KBO리그는 외국인 선수의 활약 여부에 따라 순위가 갈린다. 대부분 팀의 ‘원투펀치’가 외국인 투수들이다. 한국 야구의 미래가 더 어둡다”고 말했다. 일본은 정반대다. 지난해 센트럴리그와 퍼시픽리그 평균자책점 5위 안에 든 10명은 전원 일본 투수였다. 외국인 선수들은 주로 불펜 투수로 나섰다.
한국 야구에도 최근 들어 150km대의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들이 꾸준히 배출되고 있다. 이들을 어떻게 다듬어 제구와 스피드를 고루 갖춘 투수로 성장시키느냐 하는 것이 한국 야구 앞에 주어진 과제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