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등 생성형AI 세계적 열풍… 관련 기업 71% “인력난 경험” 구직자는 최신 정보 확인 어려워 캐치, 오늘 ‘AI 커리어콘’ 개최 현업 종사자 다양한 강의 제공
“수년 안에 1000억 달러, 어쩌면 1조 달러(약 1300조 원)의 투자금이 인공지능(AI) 분야에 모일 것으로 본다.”
지난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 첫 생성형 AI(Generative AI) 콘퍼런스에서 영국의 유명 AI 스타트업 ‘스태빌리티AI’의 에마드 모스타크 최고경영자(CEO)는 AI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이렇게 평가했다.
지난해 11월 30일 ‘오픈AI’가 처음 공개한 챗GPT만 해도 출시 두 달 만에 사용자가 1억 명에 도달할 정도로 선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챗GPT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결과를 만드는 생성형 AI로, 단순히 대화만 하는 게 아니라 논문 작성, 작사·작곡, 코딩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 AI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 AI 직무 채용 2배 늘었지만
21일 교육부는 반도체 등 첨단분야 학과에서 채용과 연계해 뽑는 이른바 ‘계약정원’ 합격자 비율을 현 20%에서 50%까지 늘리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고 발표했다. 채용 수요가 늘고 있는 AI학과도 그 대상에 포함됐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분야는 생성형 AI다. 챗GPT의 인기에 힘입어 지난달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행사에 업계 CEO들은 물론이고 창업가, 투자자, 연구자 등 총 1200여 명이 참석해 행사장이 북적였다. 여러 신생기업까지 하나둘 발 빠르게 뛰어들면서 생성형 AI 채용 시장이 활짝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구글을 비롯해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도 관련 인력 모집에 나서고 있다.
김정현 캐치 소장은 “최근 채용에 몸 사리는 빅테크들도 채용을 줄이지 않은 분야가 AI 분야”라고 말했다.
● “비전공자에게도 기회 다양해”
반면 국내에서는 AI 인력 자체도 적고 생성형 AI 등 최신 AI와 관련한 채용 정보를 접할 창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미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전국에 1인 이상 AI산업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체 1365곳을 조사해 발표한 ‘2021년 인공지능산업실태조사’에서 AI 업체의 71.2%는 인력을 찾을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기업과 구직자 간 소통이 부족하다 보니 일자리 미스매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캐치에 2021년부터 올라온 5431개 AI 직무 채용 공고 중 4470개(82%)가 경력자를 찾는 공고였다. 하지만 지난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AI 분야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AI 분야 구직자들이 생각하는 필요 기술과 경험, 정보와 기업의 요구에 편차가 있어 일자리의 ‘질적 부조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2년 2월 캐치에서 열린 블록체인 커리어콘 중 그라운드X 한재선 당시 대표(왼쪽)와 취업 전문 유튜브 크리에이터 철수가 ‘블록체인은 ○○이다’ 세션에서 블록체인 시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캐치 제공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