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생사의 경계에서 떠돌다 [下]준규군-종열씨의 ‘잃어버린 시간’ 수술 병원 못찾아… 의사가 개인 단톡방서 수소문
결코 길다고 할 수 없는 시간 ‘1분’. 하지만 응급환자라면 삶과 죽음이 뒤바뀔 수 있는 시간이다. 두 손 모아 회복을 기도하는 그의 가족이라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억겁의 시간처럼 느껴질 것이다.
이준규 군(13)과 엄마 윤영이 지난해 12월8일에 겪은 1분이 그랬다. 윤영은 아들의 뇌에 피가 퍼져 가는 줄도 모른 채 구급대가 응급실 8곳에 “아이 좀 받아달라”고 읍소하는 걸 지켜봐야 했다.
같은 해 10월 25일, 박종열 씨(39)는 병원 23곳에서 혈관을 이어붙이는 수술을 거절 당하는 내내 “다리 좀 살려달라”고 애원했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은 구급대와 응급실, 수술실이 어긋난 채 돌아갔던 준규의 228분과 종열의 378분을 ‘1분 단위’로 복기해 봤다.두 환자를 이송했던 구급대원, 진료했던 응급실 의사와 수술실 의사 등 31명을 인터뷰했다.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표류하는 동안 막후에서 벌어졌던 일을 추적하고자 119종합상황실과 중앙응급의료상황실의 통화 기록 등 미공개 자료를 포함한 총 1300쪽이 넘는 기록을 검토했다.
윤기호 김해중앙병원 응급실 외래교수가 전화를 걸고 있다.
여기 우리 사회 의료 안전망이 무너진 이유를 찾기 위한 ‘부검(剖檢)’ 보고서가 있다.
종열의 378분
다리 혈관 수술의 골든타임은 통상 8시간이다.
정형외과 의사가 직접 보겠다고 해서 기호는 종열을 입원실로 올려보냈다. 그 후로도 치료하기 까다로운 환자들이 연달아 응급실에 왔다. 심장이 제대로 뛰지 않는 60대, 황달이 심한 80대, 갑자기 실신한 90대….
기호는 종열을 잊고 다른 환자들에게 집중했다.
종열은 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옮기기 위해 다시 응급실로 돌아가야 했다.
그래도 평일 오후엔 대학병원 교수 대다수가 자리를 지키고 있으니 종열을 수술해줄 의사가 한 명은 있을 터였다. 기호는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
진료 중 아내로부터 메시지가 왔다. 일곱 살 난 첫째 아이가 감기가 들었는지 열이 심하다고 한다. 첫째는 권철이 밤늦게 귀가하면 “아빠, 오늘은 수술 몇 개 했어?”라고 천진하게 묻곤 했다. 숫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자랑스러워해줬다. 아이들은 권철이 매일 밤을 병원에서 버티는 원동력이다.
그는 예정된 진료를 마치면 서둘러 집에 가기로 마음먹었다.
기호는 종열을 태우고 갈 사설구급차를 호출했다. 간호사에게 종열의 진료 기록도 미리 챙겨두라고 했다. 부산대병원이 ‘오라’고 하면 1분도 허비하지 않고 종열을 출발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부산대병원은 뜻밖에도 “중환자실에 자리가 없다”며 종열을 받아줄 수 없다고 했다.
부산대병원은 평소 외상 중환자실 병상을 최소 5개는 비워둔 채로 운영한다. 혹시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중환자를 대거 수용하는 것도 권역외상센터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29시간 전부터 중환자실 침대 42개가 환자로 가득 차 새로운 환자를 받을 공간이 없는 상태였다. 중환자 병상 7개를 코로나19 환자를 위해 내어준 탓에 평소보다 자리가 빠듯했다.
상태가 그나마 나아진 환자를 일반 입원실로 옮기는 방식도 한계에 다다랐다. 뺄 수 있을 만큼 호전된 환자가 한 명도 없었다.
2:28, 기호는 창원 경상대병원에 전화했다. “응급 혈관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2:30, 양산부산대병원에 전화했다. “담당 의사 2명 모두 응급수술 중”이라고 했다. 실제 이날 두 의사는 뇌사 장기 기증자가 생겨 급하게 폐 이식 수술을 하고 있었다. 또 한 명은 소아 환자를 수술 중이었다. 두 수술 모두 막 시작한 터라 언제 끝날지 장담할 수 없었다.
2:34, 창원파티마병원에 전화했다.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김해중앙병원 응급실 유선 전화기 바로 아래에는 ‘환자 의뢰 연락망’이 붙어 있다. 연락망에는 부산과 경남 일대 주요 병원의 응급실 핫라인과 전문 진료과목의 010 휴대전화 번호가 적혀 있다. 이날 기호는 연락망에 적힌 병원 중 1곳을 빼고 모두 전화했다.
당시 중앙응급의료센터를 통해 공유된 정보에는 삼성창원병원 중환자실에 빈자리가 있다고 나왔다. 하지만 삼성창원병원이 이렇게 답한 데는 이유가 있다. 당시 삼성창원병원에선 응급수술 2건이 이뤄지고 있었다. 중환자실 빈자리 2개는 그 환자들이 수술을 마치면 누울 자리였다. 새로운 환자를 받을 수 있는 자리가 아니었던 셈이다. 다리 혈관 수술이 가능한 의사도 수술 중이었다. 그는 4시간 후에야 수술을 마쳤다.
2:38, 고신대병원에 전화했다.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2:39, 인제대 부산백병원에 전화했다.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2:41, 인제대 해운대백병원에 전화했다. “정형외과 학회 기간이라서 수술 가능한 의사가 없다”고 했다.
2:52, 기호는 동아대병원에 전화했다. “비슷한 환자를 먼저 수용 중이라서 불가능하다”고 했다.
2:53, 상황실은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아까 기호가 이미 전화한 병원이다. 그런데도 상황실이 다시 전화한 건, 그 사이 병원 상황이 바뀌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상황실이 요청하면 일선 응급실이 전화했을 때보다 환자를 더 잘 받아주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는 여전히 빈 중환자실이 없었다.
서울 중구 중앙응급의료센터 산하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서 직원들이 응급환자를 전원 보낼 병원을 수소문하고 있다.
2:56, 상황실은 울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응급실로 연락을 달라”고 했다.
2:58, 상황실은 울산대병원 응급실에 전화했다. “담당 의료진이 부재중이라서 수용이 불가하다”고 했다.
3:00, 기호는 경북대병원에 전화했다. “수용이 불가하다”고 했다.
3:00, 기호는 울산 동강병원에 전화했다. “수용이 불가하다”고 했다.
3:00, 상황실은 창원한마음병원에 전화했다. “알아보겠다”고 하고 끊었다.
3:04, 창원한마음병원에서 상황실로 다시 전화가 걸려왔다. “수술 스케줄이 안 된다”는 답변이었다.
김해중앙병원 응급실 보호자대기실 벽에 붙어있는 인근 병원 현황. 김해에서 동쪽으로는 부산이, 서쪽으로는 경남 창원시가 있다. 두 도시에 있는 대학병원만 도합 10곳이 넘는다.
3:08, 상황실은 경북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중환자실이 부족하다”고 했다.
3:09, 상황실은 대구파티마병원에 전화했다. “알아보겠다”고 했다.
3:12, 기호는 영남대병원에 전화했다. “수술 환자 대기가 많아 수용이 어렵다”고 했다.
김해중앙병원 응급실에서 기록한 종열의 간호일지. 인근 병원에 종열의 수술 가능 여부를 물어보고 거절당한 기록이 빼곡하게 적혀 있다.
3:19, 상황실은 부산마이크로병원에 전화했다. “중환자를 수용할 수 없다”고 했다.
3:22, 기호는 안동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수용이 불가하다”고 했다.
고통스러워하는 종열의 얼굴 위로 지인의 모습이 겹쳐 보였다. 지난해 입원 중 갑자기 상태가 나빠져 뇌 수술을 받아야 했던 사람이었다. 기호가 아는 의사들에게 연락해 수술이 가능한 병원을 찾아달라고 부탁해봤지만 끝내 실패했다. 그는 결국 숨을 거뒀다.
그런 불행이 반복되지 않으려면, 종열의 다리를 살리려면 쉴 새 없이 전화를 돌려야 했다.
3:23, 기호는 창원한마음병원에 전화했다. “수용이 불가하다”고 했다.
3:25, 상황실은 안동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혈관외과 의료진이 없다”고 했다. 기호가 전화했을 때와 같은 답변을 할 수밖에 없었다.
3:26, 상황실은 영남대병원에 전화했다. “정형외과 수술이 많아서 다른 환자를 받기 어렵다”고 했다.
3:28, 기호는 포항 세명기독병원에 전화했다. “혈관외과 진료가 불가하다”고 했다.
상황실마저도 병원을 찾지 못하자 기호는 ‘사설망’을 가동할 수밖에 없었다. 전공의 시절 동기들이 모인 단체 카톡방에도 종열의 상태를 올렸다. 하지만 “여기서도 못 받는다”는 답변뿐이었다. 기호는 종열의 아내 미옥을 불러 ‘혹시 아는 의사가 있으면 연락을 해서 환자를 받아달라고 해보라’고 한 것도 마지막 희망을 걸어 본 것이다.
3:36, 상황실은 전남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응급실로 연락을 해달라”고 했다.
3:39, 상황실은 원광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관련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했다. 이 병원엔 원래 다리 혈관을 수술할 수 있는 의사가 1명 있었다. 그 의사는 2년 전 병원을 떠났다.
3:40, 상황실은 충북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전화했다. “알아보겠다”고 했다.
3:41, 대구파티마병원에서 상황실로 전화가 걸려왔다. 이 병원은 아까 수술 가능 여부를 확인해보고 연락을 주겠다고 했었다. 하지만 답변은 아니나 다를까,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의사가 없다고 했다.
3:44, 기호는 단국대병원에 전화했다. “중환자실에 빈자리가 없다”고 했다. 이 병원 권역외상센터 중환자실은 21시간 전부터 빈자리가 없었다. 간신히 한 자리가 생긴 건 이 시점으로부터 3시간 후였다. 그 빈자리마저 23분 만에 ‘빛의 속도’로 채워졌다. 머리를 다쳤는데도 대전과 그 인근에서 치료받지 못하고 있는 환자를 119가 싣고 온다고 했다. 표류하고 있는 건 종열만이 아니었다.
3:52, 기호는 충북대병원에 전화했다. 상황실이 이미 전화해서 답변을 기다리는 상태였지만 그건 기호가 알 길이 없었다. 충북대병원 측은 “환자의 다리를 찍은 엑스레이 사진을 확인한 후 연락을 주겠다”고 했다. 기호는 일말의 희망을 걸어본다.
그래도 그는 2016년식 쏘렌토의 운전대를 꺾어 병원을 향해 유턴했다. 지난해 6월 양 손목을 긋고 수술실로 실려왔던 40대 남성을 떠올렸다. 그 환자는 권철의 수술 덕에 기적처럼 손목을 완전히 회복했다. 권철은 이번에도 자신의 결정이 환자의 운명을 바꿀 수 있기를 기도했다.
충북 청주시 충북대병원 권역외상센터의 외상소생실. 종열의 다리 혈관을 수술해줄 의사가 기다리고 있던 곳이다.
충북대병원에서 찍은 종열의 혈관 사진. 왼쪽 다리 혈관이 무릎 아래로는 끊어진 상태다.
‘조금 일찍 왔다면….’ 권철은 안타까울 뿐이었다.
11년째 응급실 의사로 일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환자를 볼 때의 두려움은 무뎌지기는커녕 점점 커지기만 한다.
경남 김해시 김해중앙병원 전경.
종열처럼 응급실에 도착한 후에도 수술 의사를 제때 찾지 못해 골든타임을 놓친 환자는 얼마나 될까. 정확한 통계조차 없다.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내는 공식 자료에는 ‘4대 중증응급환자 전원율’ 통계가 있다. 중증외상이나 심근경색, 뇌출혈, 심정지로 권역응급의료센터나 지역응급의료센터 165곳을 찾았던 환자 중에 다른 병원으로 옮긴 이들이 얼마나 되는지 집계한 수치다. 2021년 1만7286명이었다.
하지만 이들의 골든타임이 얼마나 지체됐는지는 알 길이 없다. 응급실에서 병원 몇 곳에 전화를 돌렸는지, 전원을 결정한 후 몇 분 만에 최종 치료 병원으로 옮겨졌는지는 집계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기사는 3월30일자 동아일보 A1⋅4⋅5면에 실렸습니다.
동아일보는 창간 100주년을 맞은 2020년부터 히어로콘텐츠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히어로콘텐츠팀의 ‘표류: 생사의 경계에서 떠돌다’와 디지털 스토리텔링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 등은 저널리즘의 가치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차별화된 보도를 지향합니다. 디지털 플랫폼 특화 기사는 ‘히어로콘텐츠’(original.donga.com)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생사의 경계에서 표류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디지털로 구현한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
(original.donga.com/2023/sos1)
응급환자와 구급대원들이 구급차에 갇혔던 75분을 숨소리까지 담은
‘강남에 응급실이 없었다’
(original.donga.com/2023/sos2)
응급의료 현장을 360° 영상으로 구현한
‘표류 속으로’
(original.donga.com/2023/sos3)
▽팀장: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취재: 송혜미 이상환 이지윤 기자
▽프로젝트 기획: 위은지 기자 ▽사진: 홍진환 기자
▽편집: 하승희, 양충현 기자 ▽그래픽: 김충민 기자
▽인터랙티브 개발: 임상아 뉴스룸 디벨로퍼 임희래 인턴
▽인터랙티브 디자인: 곽경민 인턴
김해·청주=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송혜미기자 1am@donga.com
이상환기자 payback@donga.com
이지윤기자 asa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