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인쇄 역사 시작은 한국” 직지에 감탄… 最古 금속활자본 ‘직지’ 佛 50년만의 전시 현장

입력 | 2023-04-13 03:00:00

[직지 50년만에 공개]
佛관람객들 “실물 본다니” 긴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직지)이 11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 프랑스국립도서관(BnF)에서 취재진에게 공개되고 있다. 취재진이 조명을 켠 채 촬영하자 BnF 관계자들은 “직지가 훼손될 수 있으니 조명을 줄여 달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뉴스1


“이제 한국 문화가 프랑스에서 모두 다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11일(현지 시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직지)을 보기 위해 프랑스 파리 프랑스국립도서관(BnF)을 찾은 피에르 드비즈몽 프랑스연구소 직원이 말했다. 드비즈몽은 “난 이미 직지가 구텐베르크 성경에 앞선 가장 오래된 활자 인쇄본임을 알고 있지만 이를 모르는 유럽인들이 많다”며 이같이 덧붙였다.

BnF는 7월 16일까지 열리는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특별전을 통해 직지 실물을 공개하기 하루 앞선 이날 언론 및 VIP 전시를 진행했다. 초청받은 프랑스의 대학교수, 연구원 등 100여 명은 폭우 속에도 길게 줄을 서며 직지 실물을 본다는 기대감과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BnF가 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직지 하권을 일반 대중에게 공개한 것은 1973년 ‘동양의 보물’ 전시회 이후 50년 만이다.

로랑스 앙젤 BnF 관장은 “인쇄술 발달의 역사는 ‘유럽’이 아닌 ‘극동’에서 시작된 점을 어떻게 강조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며 “직지가 1952년 BnF 품에 들어온 이후부터 보편적인 유산을 보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폭우에도 ‘직지’ 관람 행렬… “인쇄로 지식 전파된 사실 일깨워”

‘직지’ 50년만의 전시

佛 도서관 초청행사 100여명 몰려
‘직지’ 일부 변색됐지만 활자는 선명
조명-기온 통제하며 특별관리 받아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 보러 왔어요” 프랑스 파리의 프랑스국립도서관(BnF)에서 11일(현지 시간) 실물이 공개된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 인쇄본 ‘직지심체요절’ 앞에 취재진이 모여 조심스럽게 촬영하고 있다(왼쪽 사진). 일반인 공개에 하루 앞서 언론과 VIP 전시가 진행된 이날 폭우 속에도 100여 명의 관객이 긴 줄을 섰다. 파리=조은아 특파원 achim@donga.com

“인쇄를 통해 모든 지식이 전파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게 매우 중요해요.”

11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전시장 앞에서 줄을 서고 있던 다니엘 골리넬리 씨는 인류 지식 전파의 시발점이 된 인쇄술의 기원을 접할 수 있다는 생각에 들떠 있었다. 인쇄매체가 디지털 콘텐츠에 밀려 힘을 잃고 있는 시대에 오히려 인쇄물의 영향력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이날 전시장을 찾은 교육자들은 젊은 세대가 이번 전시를 통해 인쇄물의 중요성을 널리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마리 클레르 토맹 프랑스16세기문학연구회 회장은 “학교에서 프랑스 르네상스 문학을 가르치고 있어서 인쇄술에 관심이 많다”면서 “내 학생들이 전시를 보도록 초청하고 싶다”고 했다.


● “인쇄술의 시행착오와 실험 드러나”

이번 전시에서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직지)은 인쇄술의 발명과 역사를 짚는 첫머리를 장식했다. 관람객들은 주로 유럽인들에게 익숙한 구텐베르크 성경(1455년)에 관심이 많았지만 이보다 78년 앞선 동양의 직지에 대한 이해도도 꽤 높았다.

전시장 입장을 기다리던 레미 지메네즈 프랑스 투르대 교수는 “예전에 인쇄 역사 관련 책을 읽으면서 직지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인쇄본이라고 익히 알고 있는데 실제로 보는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직지가 어떤 모습일지 매우 궁금하다. 직지는 (인쇄사에서) 중요한 국면이었다고 할 수 있다”고 평했다.

직지는 1377년(고려 우왕 3년) 충북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간행됐다. 원래 상·하 2권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 하권만 BnF에 남았다.

50년 만에 수장고 밖에 나온 직지 하권은 전시장 정중앙에 유리관으로 덮인 채 관람객을 맞았다. 조금이라도 손대면 으스러질 듯 얇고 낡은 직지는 전반적으로 얼룩덜룩하고 누렇게 변색돼 세월의 흔적을 보여줬다. 활자들은 대부분 선명했으나 일부는 검게 변색됐거나 거품이 낀 채 인쇄된 듯 흐렸다.

인쇄가 잘 안돼 붓으로 다시 쓰거나 금속이 아닌 나무 활자로 찍은 부분도 있었다. 한문 옆에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하는 구결(口訣)도 있어 눈길을 끌었다. 카롤린 브랭 BnF 큐레이터는 “인쇄기술의 시행착오, 실험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흥미로운 부분이라 이 장을 펼쳐 전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4만5000권 동양고서 중 특별 관리”

직지는 1950년 BnF에 기증된 뒤 서고에 방치돼 있었다. 1972년 이 도서관 사서였던 박병선 박사(1928∼2011)가 이를 찾아내 세계에 그 존재와 가치를 알렸다. 이날 한국 취재진이 직지를 향해 조명을 켠 채 촬영하자 BnF 관계자들은 연신 “조명을 줄여달라” “직지가 훼손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그만큼 희귀한 유물인 직지는 특별 관리를 받고 있었다. BnF는 직지를 펼칠 때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시할 때 유리관 뒷부분을 열어뒀다.

동양 고문서 부서를 총괄하는 로랑 에리셰 BnF 책임관은 “BnF는 100개가 넘는 언어로 쓰인 고서를 수십만 권 보관하고 있다. 동양 고서만 약 4만5000권인데, 직지는 그중에서도 아주 특별한 위치에 있다”고 소개했다. 직지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곳에 특별 보관되며 보관 중엔 흠이 생기지 않도록 기온 등이 통제된다.



파리=조은아 특파원 achim@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