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 라이프사이언스社 대전 투자 이광형 KAIST 총장 역할 주효 고용창출-협력연구 파급 효과 클 듯
글로벌 바이오 회사인 독일 머크 라이프사이언스의 대전 투자 소식은 지역사회에 큰 이슈가 됐다. 대전시와 지역 혁신 주체들이 각자의 역량을 발휘한 성공 모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광형 KAIST 총장의 역할이 주효했다.
마티아스 하인첼 머크 라이프사이언스 대표(왼쪽)가 다포스포럼 회의장에서 찍은 이광형 KAIST 총장과의 셀카 사진. 이광형 총장 제공
이 총장이 하인첼 대표를 만나기로 한 것은 얼마 전 이장우 대전시장의 고민을 들었기 때문이다. 이 총장은 “머크가 공정시설 부지로 대전시와 경기 시흥시를 놓고 저울질하는데, 상황이 만만치 않다는 이 시장의 고민을 듣고 고심이 깊었다”며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350년 역사(1668년 설립)의 머크는 지난해 66개국에서 222억 유로(약 30조80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고용 창출과 협력 연구의 파급 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기대됐다.
1월 16일(현지 시간) 다보스포럼이 열린 스위스 다보스 알파인 리조트 미팅룸. 대전시와 머크코리아 관계자들을 미리 만나 상황을 면밀하게 파악한 이 총장이 하인첼 대표에게 부지 선택 기준이 뭐냐고 물었다. 예상대로 “인프라”라고 대답했고, 인적 자원(human resources)을 말하는 거냐고 되묻자 “그렇다”고 했다. 이 총장은 전국 이공계 박사의 3분의 1이 근무하는 대덕특구와 KAIST 등을 예로 들어 그런 기준이라면 대전이 최적이라고 설명했다.
정작 하인첼 대표의 마음을 움직인 것은 직원의 ‘마인드셋(mindset)’, 즉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인 듯했다. 창의력에 대한 책을 썼던 이 총장의 소신이기도 했다. “근무지가 거대 도시 주변에 있으면 출퇴근 걱정에 몸과 마음이 따로 논다. 혼잡을 피해 빨리 퇴근할 궁리만 한다. 지방이면서 적정 규모인 대전이라면 그런 걱정 없이 일에만 전념할 수 있다.” 이 총장은 “마인드셋이라는 대목에서 하인첼 대표가 공감하는 눈빛이었다”고 전했다.
이 총장이 “KAIST가 연구 역량이 반도체 세계 1위, 인공지능 세계 5위권인데 바이오에서는 그렇지 못하다”고 하자 하인첼 대표는 “우리랑 힘을 합해 바이오도 세계 5위권으로 끌어올리자”고 제안했다. KAIST를 꼭 방문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30분가량 미팅을 끝내고 헤어지려는 순간 하인첼 대표는 셀카를 찍자고 했다. 이 총장은 그의 마음이 움직인 거라고 판단했다.
이창양 산업통상부 장관, 마티아스 하인첼 독일 머크 CEO, 이장우 대전시장(왼쪽부터)이 3일 대전에 아태지역 제약 바이오 공정시설을 건립하는 내용의 투자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대전시 제공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