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해경, 첨단기술 활용해 해역 감시범위 70%까지 넓힌다

입력 | 2023-05-19 03:00:00

해양정보융합 플랫폼 구축 나서
AI 기술 등으로 해양 상황 대응
밀입국 등 범죄 신속 대처 가능



이달 9일 인천 옹진군 대청도 인근 해역을 경비 중인 3000t급 해경 함정 ‘3008함’ 조타실에서 해양경찰관이 레이더를 보고 있다. 공승배 기자 ksb@donga.com


해양경찰이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경비체계 강화에 나선다. 현재 관할 해역의 16% 정도만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해경은 감시 범위를 전체 해역의 70%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해양경찰청은 미래형 해양경비 체계인 ‘해양정보융합 플랫폼(MDA)’을 구축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는 해양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면서 인공지능(AI) 기술 등으로 국내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경비체계다. 함정과 해상교통관제망(VTS), 인공위성 등에서 수집한 정보와 해양수산부, 기상청 등 부처별로 분산돼 있는 해양 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신속하게 분석하는 경비체계를 갖춘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이 같은 체계를 구축해 해양 분야 핵심 정책으로 활용하고 있다. 미국은 해군과 해안경비대가 공동으로 이 체계를 운영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 정부 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200여 종의 해양 정보를 한데 모은 ‘해양상황 표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해경은 이달 24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갈 일부 위성의 자료를 공유받아 선박 탐지 등에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해경은 이와 별개로 2030년까지 100㎏ 미만의 초소형 위성 40여 개도 띄워 활용할 계획이다. 수중·무인 드론과 무인 항공기 등의 첨단 장비도 도입할 예정이다.

해경은 이 시스템을 구축하면 첨단 장비 도입 등으로 해역 감시 범위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해경의 감시 범위는 전체 관할 해역(약 45만 ㎢) 중 16%(약 7.2만 ㎢)에 그치고 있지만 무인장비 등을 활용하면 70%(약 31.5만 ㎢) 이상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MDA가 구축되면 함정과 항공기, 위성 간 실시간 정보 교환도 가능해져 마약 밀수나 밀입국 등의 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박 사고 예방에도 첨단 기술이 활용된다. AI가 선박 움직임을 분석해 충돌이 예상되거나 음주 운항이 의심되는 비정상 선박을 식별하면 이를 관제사에게 자동으로 알리는 체계를 만든다. 선박 통항로의 흐름을 분석해 선박이 몰리는 구간에 대해서는 차량 내비게이션처럼 정체 구간을 표시해 선박 흐름을 분산시킨다.

해경 관계자는 “첨단 기술, 광역 감시자산을 도입해 운용하면 관할 해역에 대한 보다 촘촘하고 정밀한 감시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해 주변국들과 대등한 수준의 해양 경비 체계를 갖추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공승배 기자 ksb@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