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동아광장/김금희]칭다오에서 만난 한글 ‘노스탤지어’

입력 | 2023-05-24 03:00:00

한국어 배우는 中 학생들 만나 작품 얘기하고
동포 학생은 한글로 지은 시집 선물로 주기도
정치가 전부인 듯하나 개인들이 세상 변화시켜



김금희 객원논설위원·소설가


한국문학번역원의 번역 워크숍 사업 일환으로 중국 칭다오에 다녀왔다. 산둥과학기술대에서 한국어 공부를 하는 학생들과 교수님을 만나 작품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었다. 내 소설을, 번역이 아니라 한글로 읽은 독자들을 만나는 것이기 때문에 기대와 설렘이 있었다. 어느 면에서 보면 작가는 언어의 물길을 내기 위해 존재하는 사람이다. 한국의 작가들은 한글로 매번 새로운 세계를 발견해내면서 독자들이 자기만의 기쁨과 즐거움, 성장을 누리기를 원한다. 한국의 작가가 서 있는 자리는 바로 한글이 서 있는 자리이기도 한 것이다.

번역 대상작이었던 ‘우리가 가능했던 여름’은 십여 년 전 칭다오에 다녀온 기억이 배경처럼 들어가 있는 소설이었다. 그리고 삼수생인 주인공 ‘나’와 모두가 부러워하는 의대에 입학했지만 적응을 하지 못하는 친구의 아픈 성장담이 들어 있는 이야기였다. 입시 위주의 경쟁 구도 속에서 아이들이 얼마나 많은 상처를 받는지, 그것이 단지 교육뿐 아니라 이 체제 전체에서 일어나는 얼마나 위험한 폭력성인지를 다룬 소설이었다.

요즘 중국 대학생들은 대체로 학사 졸업 뒤 대학원에 진학한다고 했다. 취업 시장이 어려워지자 한국처럼 일종의 ‘스펙 경쟁’에 돌입한 것이었다. 공무원으로 취업하는 데도 대학원 졸업장이 도움이 되니 나만 하지 않을 수도 없고 이렇게 점점 더 서로 힘겨운 경쟁으로 ‘말려들어가는’ 현실을 가리키는 ‘네이쥐안(内卷)’이라는 신조어도 유행 중이었다. 수업을 마치고 식사를 하며 주말에는 뭘 하나요?라고 물었을 때 학생들은 “도서관에서 공부를 해요”라고 대답했다. 학생 한 명은 한국에서 일 년간 유학 생활을 했는데 그 사이 MBTI가 ‘내향인’에서 ‘외향인’으로 바뀌었다고 했다. 우리는 모두 웃었다.

일전에 유럽권 학생들과 번역 워크숍을 했을 때 한국어 중에 ‘문득’이라는 단어가 와닿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었다. 존재하지 않던 생각과 감정이 떠오르는 순간, 생각의 맥락을 이성적으로 파악하지 않아도 어떤 마음의 힘이 밀어올린 인식의 변화를 느끼는 단어가 ‘문득’이라면 적어도 그 학생에게는 그런 연상 작용이 영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 기억이 나서 학생들에게 확인해 보자 모두 ‘문득’에 대해서는 전혀 이질감을 느끼고 있지 않았다. 모두가 경험하고 있는 감정이었으며 중국어로도 충분히 번역이 가능했다. 우리는 한국어 ‘문득’을 이해하는 이웃들이었다.

여정 중에는 한인들과 중국 동포들이 모여 사는 청양구도 방문했다. 십여 년 전, 마치 한국의 신도시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모양새라 나를 놀라게 했던 그곳에는 그사이 더 높은 건물이 서고 개발되어 있었다. 하지만 몇 년간 한국 기업체가 철수하고 사람들이 떠나면서 7만 명이었던 한인 타운 인구는 2만 명 정도로 줄어들었다고 했다. 중국에서 한국어학과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말을 들었을 때처럼 안타깝고 서운한 마음이 들었다.

그런 청양에도 한글이 모여드는 샘물 같은 도서관이 있었다. 한인타운 중심가에 자리한 칭다오경향도서관에 들어서니 오천여 권의 한국 책들이 번듯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가족들이 함께 도서관 문을 열고 들어왔고 아이들은 멋진 사시나무가 인사하는 이층 창을 보며 한참 동화책을 골랐다. 민간이 운영하는 이 도서관에서는 한글 학교를 열고 사람들에게 한국 책을 무료로 빌려 주고 있었다. 독서 모임을 열어 책 이야기도 하고 더 나아가 글도 써보는 공간이었다. 부모가 한국에 일하러 간 뒤 혼자 자취하며 지내는 어린 학생이나, 직장 때문에 갑자기 중국에 오게 된 한국인, 한국과 중국 다문화 가정에서 자라고 있는 어린이들이 모여드는 소중한 공간이었다. 무엇보다 중국 동포 청소년들이 한글로 시나 소설을 쓰고 있다는 말에 기대감이 몰려왔다. 그들이 중국과 한국에서 느낀 모든 것이 문학으로 쓰인다면 한글의 또 다른 물길을 만들어내는 것일 테니까.

도서관에서는 동포 고등학생이 직접 쓰고 묶은 시집을 선물로 주었다. 제목은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인 ‘노스탤지어’였고 시집의 마지막 말은 “기어이 혜성이 되자”였다. 때론 사회 체제나 정치적 역학 관계가 세상의 전부인 듯 느껴지지만 사실 그 세계를 이루는 수없이 많은 개인들이 서 있음으로 해서 결국 세상은 그와 다르게 흘러가고야 만다는 생각을 한다. 단언적으로 말하면 비관은 세상을 단순화하지만 낙관은 세상을 입체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러니 한중 모두 오랫동안의 이 친근감을 잃지는 않을 거라고, 더 가까이 걷는 자리에 한글에 대한 애정과 그리움이 ‘문득문득’ 한몫을 하고 있으리라고 나는 희망을 품으며 돌아왔다.



김금희 객원논설위원·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