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성실한 건설 근로자가 폐기물 무단 투기와 하자 유발 등 소비자의 피해, 무단 결석과 근태 불량 등 건설사의 피해를 일으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건설 인력 중개 업계는 근로자의 평판과 경력 관리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기술 연구 개발에 나선다. 한편으로는 건설 근로자뿐만 아니라 기업과 업계가 함께 노력해 건설 현장의 논란, 폐단을 줄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최근 입주를 시작한 신축 아파트에서, 건설 근로자들이 남기고 치우지 않은 것으로 예상되는 인분이 발견돼 공분을 샀다. 인분뿐만 아니라 건축 폐기물을 건설 현장 곳곳에 무단 투기하는 사례도 있다. 이들 사례는 수년 간 수십 건 이상 꾸준히 보고됐다.
아파트 시공사는 건설 현장에 화장실과 휴게 시설을 마련하지만, 현장 관리가 잘 되지 않거나 건설 근로자가 이들 시설을 활용하지 않아 일어난 사고라고 해명했다. 건설 근로자 교육 강화와 적발 시 해고 등 강경 조치를 마련했지만, 그럼에도 쉬이 좋아지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건설 현장의 논란을 줄일 대안으로 근로자의 평판, 경력 관리가 꼽힌다. 출처 = 엔바토엘리먼츠
신축 아파트의 하자 분쟁도 매년 전국 곳곳에서 수백 건 이상 일어난다. 창틀이나 가구의 찍힘, 벽지나 줄눈 마감 불량 등의 일반 하자에서부터 누수와 시설 붕괴 등 심각한 하자에 이르기까지 종류도 다양하다. 건설 업계는 하자 분쟁이 일어나는 주요 원인으로 인테리어 자재 원가의 과도한 절감, 비숙련공의 업무 실수를 꼽는다.
불성실한 건설 근로자는 건설사에게도 피해를 입힌다. 건설 근로자가 당일 아침 별안간 출근하지 않는 사례, 출근 후 불성실하게 일하는 사례가 자주 생긴다. 건설 현장에서의 근무 경력을 부풀려 임금이 높은 숙련자용 업무를 맡고, 정작 업무에 태만한 이들도 있다. 이러면 작업 기간이 더 길어지고 건설사가 더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한다.
건설 업계는 근로자의 윤리 교육을 강화하고, 근태나 업무에 불성실하면 퇴출까지 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한다. 그럼에도 이들 논란은 줄지 않는다. 이에 건설 인력 중개 스타트업들은 ‘건설 근로자의 평판과 경력 관리’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원리는 간단하다. 건설 근로자의 근무 경력과 현장에서의 평판을 데이터로 만들어 앱에 저장, 관리하는 것이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건설 근로자의 채용 유무를 결정한다.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건설 근로자들. 출처 = 웍스메이트
그러면 건설사는 건설 근로자의 경력과 평판, 특기를 면밀히 살핀 후 채용 가능하다. 폐기물을 무단 투기하지 않는 건설 근로자, 능력과 소명을 갖고 성실하게 일하는 건설 근로자를 채용해 건설 현장의 논란을 상당 부분 줄인다. 건설 근로자의 무단 결근이나 업무 태만도 방지해, 공사를 제 때 마치고 비용도 절감 가능하다.
평판과 경력을 잘 관리하면, 건설 근로자도 많은 혜택을 받는다. 건설사는 성실한 건설 근로자를 선호한다. 평판과 경력이 좋은 건설 근로자는 사정이 좋은 건설 현장에서 일할 가능성이 높다. 특정 기술이나 부문에서의 경력을 쌓고 이를 증명하면 숙련공으로 인정 받아 임금도 더 많이 받는다.
나아가, 건설 현장에서 좋은 평판과 경력을 쌓아 임금을 꾸준히 받으면 카드 발급, 우대 금리 등 금융 혜택을 받을 근거로도 활용 가능하다. 실제로 건설 일용직 구인구직 중개 플랫폼, 웍스메이트 가다는 주요 금융 기업과 함께 성실한 건설 근로자에게 줄 금융 혜택을 운용한다. 건설 근로자가 골절이나 교통재해 피해를 입으면 위로금을 지급하는 가다근로자지킴이안심보험(하나보험), 근무 이력과 소득 데이터를 가진 건설 근로자용 저금리 소액 대출 서비스(한화EBC)다.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건설 근로자들. 출처 = 웍스메이트
한편으로는 건설 근로자의 평판과 경력을 관리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평판은 건설 현장의 감독이 입력하는 것이라서 주관이나 편견이 반영될 여지가 있다. 개인정보에 속하므로 유출도 막아야 한다. 건설 근로자가 경력을 허위로 입력하는 경우, 경력을 입력하는 방법을 몰라 경력이나 능력을 인정 받지 못하는 경우도 대비해야 한다.
이어 건설 현장의 논란을 없애려면 건설 근로자뿐만 아니라 건설 기업과 업계도 노력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확한 공사 일정을 세우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일하는 건설 기업, 저가 공사비의 무리한 입찰과 재하청을 반복해 근로자의 과로를 유발하는 건설 업계의 폐단도 고쳐야 한다는 지적이다. 선진국처럼 건설 근로자 조합을 설립해 여건을 개선하고 근로자들의 신원 확인, 보험 등 안전 제도도 잘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동아닷컴 IT 전문 차주경 기자 racingcar@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