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전 세계 170개국의 국민 ‘행복지수’를 비교했다. 한국은 20위로 아시아에서는 일본(16위)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기반 비영리단체 사회발전조사기구(Social Progress Imperative)에서 발표한 1990년부터 2020년까지의 사회발전지수(Social Progress Index) 데이터를 통해 세계 170개 국가에서 국가의 경제 규모와 국민의 행복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 ‘행복지수’ 순위를 매겼다.
한국은 2020년 90점으로 전체 20위를 기록, 1990년 대비 17위 상승했다. 북한의 경우 1990년에 비해 37계단 하락한 149위를 기록했다.
해당 지수를 기반으로 이코노미스트가 분석한 결과 여전히 국가의 부의 규모와 국민의 행복도 사이에는 상당한 연관성이 존재했다. 유럽과 같이 부유한 국가는 시민의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하라 사막 이남의 다수 아프리카 국가와 같이 가난한 나라는 최악으로 나타났다.
1990년과 2020년 사이 사회발전지수 변화 추세를 살펴볼 때 1980년대에서 1990년대로 넘어오는 기간 급성장한 이후 인간 복지의 개선은 점진적으로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분석 결과 행복지수가 가장 크게 상승한 지역은 동아시아와 태평양 근방으로 1990년부터 2020년 사이 이 지역 국가들은 평균적으로 18점 상승했다. 특히 ‘국민총행복’의 개념을 창안한 부탄의 경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부분에 정부가 힘을 쓰며 30년 간 약 30점이 상승, 38계단을 뛰어올라 86위를 기록했다.
대표적인 국가의 경제적 지표인 국내총생산(GDP)과 사회발전지수를 연관지어 분석했을 때 경제 성장은 사회 발전에 중대한 영항을 미치는 요소지만 ‘유일한’ 결정 요인은 아니라는 점이 드러났다. 2020년 107위를 기록한 중국의 1인당 GDP는 1990년과 2010년 사이에 11배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사회발전지수는 45% 증가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