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제주에서 대구로 향하던 아시아나 항공기에서 30대 남성이 착륙 전 대구공항 상공에서 비상문을 강제개방하는 사고가 발생해 일부 승객이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이날 오후 비상문이 개방된 채 대구공항에 착륙한 항공기가 계류장에 대기하고 있다. 2023.5.26/뉴스1 ⓒ News1
14일 오전 경기 고양시 덕양구 지축차량사업소 검수고에서 관계자가 서울 지하철 3호선 신조전동차를 소개하고 있다. 2022.2.14/뉴스1 ⓒ News1
대구공항에 착륙 중이던 비행기 비상구 문을 강제로 연 혐의로 긴급 체포된 A씨(33)와 관련해 아시아나항공의 초기 대응을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 승객 증언에 의존한 탓에 당시 항공사측이 기내에서 범인을 제대로 제압했는지부터 주장이 엇갈린다.
지난 3월에는 필리핀 마닐라로 향하는 대한항공 비행기 안에서 권총용 실탄 2발이 발견되며 탑승구로 회항한 사례도 있었다. 당시 첫 번째 실탄이 발견됐을 때 금속 쓰레기로 착각하고 뒤늦게 조치를 취한 승무원의 대처를 두고도 비판이 이어졌다.
기내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비행기 객실에 폐쇄회로(CC)TV 설치 문제도 관심을 끌고 있다. 다른 교통수단에서 안전사고에 대비한 CCTV 설치가 일반적이지만 비행기는 사정이 다르다.
업계에서는 항공사에서 CCTV 도입 논의가 부족한 이유로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꼽는다. 타 교통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장시간 머무는 비행기 특성상 프라이버시 문제가 더욱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비즈니스와 퍼스트 클래스도 별도로 운영하는 항공업계에서는 CCTV가 더욱 부담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장거리 운송수단인 고속열차는 객실 내 CCTV를 늘리는 추세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322억원을 들여 올해까지 KTX, 수도권 전철 등 현재 운행하는 모든 열차 3531칸에 단계적으로 CCTV를 설치하고 있다. SRT 운영사 SR도 전 열차에 CCTV를 운영하고 있다. 양사는 승무원에게 바디캠도 제공하고 있다.
국제 표준 문제도 있다. 철도는 국내에 현대로템(064350)이라는 제작사가 있고 국내에서만 운영되는 반면 비행기는 보잉과 에어버스에 의존하는 데다 국경을 넘나들어 국제 기준을 맞춰야 효율성이 높아진다. 국내에서 독자적으로 CCTV를 다는 것이 어렵다는 뜻이다.
또한 비행기에는 부품 수가 상당해 하나의 시스템이 추가될 때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비행기 시리즈로 꼽히는 B737-8에는 대략 50만개의 부품이 들어가고 하늘의 여왕이라 불렸던 대형기 B747-8의 부품 수는 600만개에 이른다.
결국 항공사가 제작사에서 비행기를 인도받는 과정에서 이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미인데 법적으로 강제하지 않는 한 항공사가 부담을 감수하고 나설 이유가 없다. 철도는 공공에서 운영해 정부의 재원이 들어가기 때문에 유도가 가능하지만 항공은 온전히 민간의 영역이다.
과거 국내에서도 논의가 이뤄졌던 시점이 있다. 2001년 정부는 미국 9·11테러 이후 대테러 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조종실에서 객실을 감시하는 CCTV를 설치하고 조종실 출입문을 방탄문으로 교체하는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이듬해 한국에서 치러질 월드컵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항공 보안을 높인 것이다.
그럼에도 정책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자연스레 사라졌다. 당시 항공사에서 근무하던 한 업계 관계자는 “9·11 때 기내 CCTV 설치에 대한 검토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진지하게 검토가 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물론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지난 2019년 홍콩의 캐세이퍼시픽 항공이 기내에 설치한 CCTV를 통해 탑승객의 정보를 수집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캐세이퍼시픽 측은 승객의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사용 패턴을 관찰하기 위해 CCTV를 설치했다고 해명했으나 승객을 감시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CCTV 설치는 분야를 막론하고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만큼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다. 김연명 한서대 항공산업공학과 교수는 “승객들이 CCTV에 거부 반응을 보이며 비행기 탑승이 위축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안전에 얼마나 도움이 되냐를 두고 공론화를 할 필요성은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