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
현실에 존재하는 데이터가 다양한 디지털 기술로 융·복합되면서 산업 간 경계가 소멸되고 재창조되는 등 새로운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혁명이라는 변화의 시기에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기조 아래 선도국가로 도약하고자 ‘디지털 플랫폼 정부’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현실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각종 정보를 융·복합하고 시뮬레이션해 국민 편의와 안전을 지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부처가 각자 고유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은 현실의 데이터를 정확한 위치에 지도(map)로 표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도는 현실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등 어떤 일을 결정하는 데 있어 전통적이지만 꽤 효과적인 방법이다. 코로나19가 빠르게 전파될 때, 확진자 이동경로를 표시해 확산을 줄이거나 마스크 판매처, 백신 보유 병원을 알려 국민에게 전달한 것은 지도 활용의 좋은 예다.
과거 종이였던 지도가 현재는 휴대전화에 집적돼 우리 삶에 녹아들었다고 하면, 미래의 지도는 문제를 보여 주는 데 그치지 않고 예측한 뒤 해법을 제시하는 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지도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연결시켜 주는 키(key)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데이터를 연결하는 것은 여러 기준의 통일을 의미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현실 세계의 있는 그대로의 위치와 정보를 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도는 더 정밀한 위치와 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우리나라가 한 단계 더 발전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은 대한민국의 지도를 다시 그리고자 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이러한 목표를 보다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6월 초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 국비 지원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지자체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스스로 제안하고 그렇게 구축된 지도가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사용자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렴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고정밀 전자지도를 구축할 수 있는 예산을 확보해 지원하고 있으며 이번 정부 내 전국 도시지역 구축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