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 제공) 2023.5.31/뉴스1
군 당국이 북한의 ‘우주 발사체’가 떨어진 서해 공해상에서 이틀째 낙하물 수색·인양 작업을 벌인다.
1일 군 당국에 따르면 해군은 전날부터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 해상에서 수상함 구조함 ‘통영함’(ATS-31)과 ‘광양함’(ATS-32) 등을 동원해 수색·인양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통영함은 전날 오전 8시5분쯤 북한이 쏜 발사체의 일부를 식별 및 인양하는 데 성공했다. 이 물체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서 1·2단 추진체의 연결부로 알려졌다.
군 안팎에선 북한이 쏜 발사체가 공중에서 폭발하지 않았다면 위성 본체 등도 거의 온전한 형태로 바닷속에 가라앉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곳 해역의 수심은 약 70m다.
이에 따라 해난구조전대(SSU)의 심해잠수사와 소나(음파탐지장비), 수중무인탐사기(ROV) 등도 수색·인양 작업에 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 발사체 추락 지점은 우리나라와 중국의 중간 해역, 즉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져 중국 측에서도 발사체 수색·인양에 나섰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군은 작년 11월 북한이 구형 지대공미사일 ‘SA-5’(나토명·러시아명 S-200)를 동해 북방한계선(NLL) 이남 수역에 발사했을 당시 광양함과 수중무인탐사기 등을 동원해 그 잔해를 찾아냈다.
‘은하 3호’ 발사 땐 38시간 만에 1단 추진체를 찾아냈고, ‘광명성’ 발사 땐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 추정 물체를 건져냈다.
군 소식통은 “과거 인양했던 것만큼 중요한 물체들이 인양될 때까지 수색·인양 작업이 당분간 계속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북한이 전날 오전 6시29분쯤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한 발사체 1발은 서해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지난 뒤 비정상 비행하면서 이곳 어청도 서쪽 200여㎞ 해상에 떨어졌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