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지난해 12월 “국가우주개발국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평양 노동신문=뉴스1)
김정은 당 총비서가 지난달 군사정찰위성 발사 준비를 하고 있는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지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앞으로도 인공위성 발사를 지속하겠다고 4일 밝혔다. 그러나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엔 관련 계획을 사전에 알리지 않겠다고 예고했다.
위성을 언제 어떻게 발사할지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겠단 것이다. 이는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에 실패한 정찰위성 탑재 발사체가 낙하한 수역에서 우리 군이 그 수색·인양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 부부장은 이날 담화에서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지난 2일(현지시간) 북한의 위성 발사와 관련해 공개회의를 개최한 데 대해 “유엔헌장 정신에 대한 모독이고 왜곡”이라며 불만을 표출했다. 그는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을 멈춤 없이 해나갈 것”이라면서 위성 발사를 재차 시도할 계획임을 분명히 했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로켓 ‘천리마-1형’을 발사하기에 앞서서도 일본 해상보안청과 IMO에 각각 그 발사계획(5월31일~6월11일 중 발사)을 통보해 주변국들이 항공기·선박 운항시 그에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북한은 이후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부위원장의 글을 통해 위성을 “6월에 발사 할 것”이라고 예고하기도 했지만, 실제 발사는 5월31일에 이뤄졌다.
이런 가운데 우리 군은 북한의 천리마-1형이 발사 후 비정상 비행으로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약 200㎞ 거리 수역에 떨어지자 인근에서 대기 중이던 해군 구조함을 해당 수역에 보내 북한 발사체 추정 물체이 위치를 식별하는 데 성공했고 현재 그 인양 작업을 진행 중이다.
소식통은 “북한이 사전에 위성 발사계획을 알렸기 때문에 우리 군도 대비할 수 있었던 것”이라며 북한이 앞으로 이런 계획을 국제기구 등에 알리지 않는다면 관련 대응도 쉽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북한 김 총비서는 지난 4월 “기상관측위성, 지구관측위성, 통신위성 보유를 ‘선점고지’로 정해야 한다”고 밝혀 앞으로 정찰위성뿐만 아니라 다수의 위성 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