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천마’ 적힌 北발사체 잔해 인양…한미, 공동조사 예정

입력 | 2023-06-16 09:00:00


해군이 인양한 북한 우주발사체 2단 동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제공


우리군이 전날 오후 8시 50분경 전북 군산 어청도 서쪽 200여km 수심 75m 펄에 묻힌 북한 우주발사체 2단 동체를 인양하는 데 성공했다. 북한의 우주발사체가 목표궤도에 이르지 못하고 서해 앞바다로 추락하고 인양작업을 시작한 지 보름만이다.

합동참모본부(합참)은 16일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 잔해를 15일 8시50분경 인양했다”며 “수상함에 실어 경기도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로 옮겨 한미 공조하에 정밀 분석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합참은 인양한 2단 발사체를 국방과학연구소(ADD) 등 전문기관에서 정밀 분석할 예정이다.

합참에 따르면 인양 동체는 길이 15m, 직경 2~3m가량의 원통형인 것으로 파악됐고, 1·2·3단으로 이뤄진 발사체 중 2단 부위로 추정됐다.

3단 상단부에 탑재됐을 북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은 이번 인양 동체에 붙어있지 않았고 주변 해역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합참은 만리경 등 추가 잔해물에 대한 수색 작전을 이어서 지속 전개 중이라고 전했다.

해군이 인양한 북한 우주발사체 2단 동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제공



현재 인양된 발사체는 인양지점에서 2함대사령부 부지까지 이송된 상태다. 이송 도중 동체에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있어 진동을 최소화 하고자 평소보다 느리게 이동해 10여 시간 이상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군은 이번 북한 발사체 잔해를 추락 1시간 만에 신속 발견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인양하는 데는 15일이 걸릴 정도로 쉽지 않았다고 한다. 인양 초기 원통형 동체 양쪽 끝 부위에 고장력 밧줄(와이어)을 묶어 끌어올리려 했으나, 이 과정에서 동체가 매끈한 표면 때문에 와이어에서 미끄러져 빠지는 일이 발생했다.

해군이 인양한 북한 우주발사체 2단 동체.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제공



이외에도 동체 상단부와 중간부 이음새가 인양 과정에서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동체 일부가 파손되기도 했다.

해군 인양팀은 단락 부분에 ‘ㄷ(디귿)’자형 고리를 설치하고, 상단부에는 소규모 폭발 장치로 구멍을 뚫어 와이어를 걸었다. 하단부에도 같은 방법으로 와이어를 설치해 물살이 가장 약한 시점을 기다렸다가 전날 오후 8시~8시50분경 끌어올린 것이다.

이번 인양작전에는 천안함, 세월호 수색에도 나섰던 청해진함(ASR-21)을 비롯해 3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이 동원됐다. 그리고 해난구조전대(SSU) 심해 잠수사가 수중에서 2단 동체에 로프를 결박하고 작업을 맡으면서 큰 활약을 했다.

우리군은 중국이 북한의 추락한 발사체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자 함정을 여러 척 동원 배치해 중국 선박의 접근을 통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사체 추락 지점이 한,중 잠정수역이면서 공해상이었고, 공해상에서는 인양 물체를 먼저 인양하는 쪽이 권리를 주장할 수 있어 자칫하면 북한의 발사체를 중국이 먼저 회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우리군의 인양작업이 강한 조류로 인해 지연되는 기간인 지난 8일부터 중국의 조사선 ‘시앙양홍 18’(XIANGYANGHONG 18)은 우리군이 인양 작업을 하고 있는 인양지점에서 남서쪽으로 11km 떨어진 지점에 도착했다.

이후 중국은 다수의 군함과 선박들을 발사체 낙하지점에 추가로 보내 우리군의 작전을 살피고 다른 잔해를 수색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