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무역흑자 전환 성공…정부 “韓 경제 ‘상저하고’ 전망 청신호”

입력 | 2023-07-02 09:43:00

산업부 “IMF 외환위기 이후 최장기간 적자 마침표”
“어려움 속 대통령 이하 부처·기업 노력으로 달성”




6월 무역수지가 16개월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하며 외환위기 이후 최장기 무역적자에 마침표를 찍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 전망에 청신호”라고 평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월 무역수지는 11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전(29개월) 이후 최장기간(15개월) 동안 지속된 무역수지 적자 흐름에 마침표를 찍었다”며 “16개월 만에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하며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 전망에 청신호를 켰다”고 2일 밝혔다.

산업부가 전날 발표한 ‘6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이 1년 전보다 6.0% 감소한 542억4000만 달러(71조5425억원)를, 수입은 1년 전보다 11.7% 감소한 531억1000만 달러(70조520억원)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11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가 15개월째 내리막을 끊고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산업부는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정보기술(IT)업황 부진, 불확실한 무역환경 등 3대 어려움 속에서도 대통령 이하 정부부처, 수출기업 모두가 원팀으로 노력해 달성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번 흑자 요인에 대해 산업부는 최근 수출 개선과 국제 에너지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수입 감소가 모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수출은 감소율이 5월(15.2%)에 비해 6.0%로 대폭 완화된 반면 수입은 두 자릿수 감소율이 지속됐다.

6월 에너지 수입의 경우 국제유가 안정화 흐름이 지속되면서 4~5월과 유사한 수준의 감소율(-27.3%)을 기록했다. 6월 에너지를 제외한 나머지 품목의 수입도 7.1% 감소하며 올해 들어 매월 감소 흐름을 이어나갔다.

이처럼 에너지 수입이 감소하면서 무역흑자 전환에는 성공했지만 수출은 9개월째 감소를 지속 중이다. 하지만 감소율이 완화세를 보이는만큼 하반기 증가세 전환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산업부는 “수출증가율도 올해 들어 6월에 최저를 기록하며 저점을 지나 점차 개선되는 추세에 있어 하반기에는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15대 주요 수출품목 중 자동차·일반기계·선박 등 7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이는 올해 들어 월간 기준 최다 품목 수출증가율 플러스에 해당한다.

산업부는 “역대 최고 수준의 수출호조를 기록하고 있는 자동차에 더해 선박·일반기계·이차전지(소재 포함)의 수출 증가가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했다”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용 양극재 등 고부가가치 품목 수출이 대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우리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는 메모리 가격하락 영향으로 6월 수출도 감소하긴 했지만 4월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지난달 대(對)유럽연합(EU)·중동·중남미 수출이 증가로 전환됐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 수출은 19.0%, 최근 들어 기대감을 보인 시장인 미국 수출은 1.8% 줄었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대미 수출은 작년 수출호조에 따른 역기저 효과로 보합세를 기록했다”며 “대중 수출은 6월에도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5~6월 연속으로 100억 달러대 수출을 유지하는 등 점차 회복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대중 무역수지 적자도 올해 3월 이후 추세적으로 개선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앞으로 6월 무역수지 흑자가 조기에 수출증가율 플러스 전환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범부처 수출총력지원 노력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단기적으로는 수출 확대로 연결되는 현장 애로해소와 함께 수출유망품목에 대한 마케팅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기업 10만개사 달성을 위해 중소·중견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우리 수출이 글로벌 경기 및 통상환경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수출상품 고부가가치화 ▲수출시장 다변화 ▲내수기업 수출기업화 등을 중심으로 하는 무역구조 혁신 방안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세종=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