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1명당 환자 5~7명’ 규정 인력난에 ‘손 많이 가는 환자’ 꺼려 일부 병원은 보호자 상주 요구도 통합병동 ‘의료수가’ 더 많이 받아
통합병동이란 보호자나 간병인 없이,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등이 환자를 돌보는 병동이다. 안 씨는 ‘나이만을 이유로 입원시켜 주지 않는 건 부당하다’며 아들이 항의한 뒤에야 겨우 통합병동에 입원할 수 있었다.
● 쉬운 환자만 골라 받는 간호간병통합병동
실제 현장에선 안 씨처럼 고령이거나 상태가 좋지 않아 이른바 ‘손이 많이 가는’ 환자는 꺼리고 경증 환자만 골라 받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보호자들 사이에서는 “기저귀를 차면 안 받아준다”, “약간의 섬망(인지 기능 등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만 보여도 바로 쫓아낸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퍼져 있다.
심지어 보호자 상주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김모 씨는 아내가 뇌질환으로 입원했을 때 경기도의 한 종합병원 통합병동에서 ‘간호사들이 바빠 바이털 체크(호흡과 맥박 등을 확인하는 것)를 할 여유가 없으니 보호자가 옆에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김 씨는 “황당하게도 내가 한두 시간마다 아내의 상태를 관찰해야 했다”고 말했다.
● 간호인력 배치기준 현실화해야
병원들은 간호인력이 부족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지침상 상급종합병원 기준 통합병동의 환자 수는 간호사 1명당 5∼7명, 간호조무사 1명당 30∼40명이다. 이 인력으로는 환자를 제대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의료현장의 공통된 의견이다.
통합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조무사 정모 씨는 “치매나 섬망 증상이 있는 환자가 오면 (제대로 관리가 안 돼) 낙상이 자주 발생하고 나머지 환자들까지 잘 돌볼 수 없게 된다”며 “정부가 간호인력 배치 기준을 현실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지침이 개정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행 복지부 지침상 전국 상급종합병원, 서울 소재 종합병원 및 병원은 의료기관 한 곳당 통합병동을 최대 4개까지만 운영할 수 있다. 비수도권의 간호인력이 수도권으로 쏠리는 걸 막기 위해 생긴 제한이지만, 중증 환자들이 ‘서울의 큰 병원’으로 몰리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지침이라는 비판도 있다. 김 교수는 “병동 제한을 단계적으로 완화해서 수요가 많은 곳에 통합병동이 알맞게 공급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k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