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쪽샘 44호분 유물 복원 공개 비단벌레 말다래-금동신발 등 발굴 세 가지 색 실 ‘삼색경금’도 나와 내곽 주변에 최소 4명 순장 추정
조사단원 차림을 한 최응천 문화재청장이 4일 ‘쪽샘지구 44호분’에서 출토된 비단벌레 금동장식 조각과 직물 등을 토대로 실제 모습을 재현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 말다래’를 선보였다. 문화재청 제공
400여 개 조각으로 빛바랜 채 출토된 비단벌레 금동 장식과 금동 파편들…. 5세기 후반 조성된 신라 공주의 무덤에서 나온 유물 총 780점이 2014년 발굴 조사를 시작한 지 9년 만에 복원을 마치고 모습을 드러냈다. 경북 경주시 쪽샘지구 44호분 발굴조사 과정에서 낱알로 발견된 비단벌레 금동 장식들은 말 위에 올려두는 ‘말다래’(말 탄 사람의 다리에 흙이 튀지 않도록 안장 밑에 늘어뜨리는 판)의 일부였고, 구겨지고 잘린 채 출토된 금동 파편들은 공주가 저승 가는 길에 신으라고 머리맡에 묻어둔 금동 신발이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4일 경주시 서라벌문화회관에서 열린 ‘쪽샘지구 44호분 발굴 성과 대국민 발표회’에서 연구·복원을 통해 완전한 형태로 재현한 ‘비단벌레 꽃잎장식 죽제(竹製) 말다래’를 최초로 선보였다. 신라에선 총 4점의 말다래 유물이 전해지는데, 천마도(天馬圖)가 아닌 다른 문양의 말다래가 나온 건 처음이다.
이날 조사단원 복장을 한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비단벌레 날개의 초록빛과 금동 장신구의 황금빛이 조합된 이 유물은 찬란했던 신라 공예기술의 진면목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장신구의 크기가 작아 무덤의 주인은 키 130cm 내외, 나이는 10세 전후 공주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금동관 바로 아래에서는 직물로 엮은 머리카락 가닥도 일부 나왔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를 토대로 공주가 직물을 머리에 엮은 이른바 ‘붙임머리’를 했을 거라고 봤다. 금동관과 함께 나온 직물을 분석해 홍색과 자색 등 세 가지 색으로 염색한 실을 엮어 만든 삼색경금(三色經錦)이 사용된 사실도 파악했다. 삼국시대 삼색경금이 나온 것 역시 처음이다.
순장의 흔적도 나왔다. 공주가 묻힌 내곽과 외부 매장 공간 사이에서 금귀걸이 4쌍과 ‘돌비늘’로 불리는 운모(雲母)가 나온 것. 묻힌 이가 불로장생하길 바라는 의미에서 시신 주변에 뿌린 운모가 공주가 매장된 내곽 밖 주변에 흩뿌려진 점으로 미뤄 최소 4명이 순장됐을 것으로 분석했다. 금귀걸이 4쌍은 순장된 이들의 것으로 추정됐다.
보존 처리를 모두 마친 금동 신발과 금 귀걸이, 금과 유리로 만든 가슴걸이 등 쪽샘지구 44호분 출토 유물 전부는 12일까지 경주 쪽샘유적박물관에서 공개된다.
경주=이소연 기자 always9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