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7일 서울 종로구 새마을금고 본점을 방문해 6000만원을 예금하고 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정부는 보유한 모든 정책수단을 활용해 새마을금고를 지원할 것’임을 강조했다. 금융위원회 제공
새마을금고 위기설을 둘러싸고 국민 불안감이 커지자 금융당국 수장까지 가세해 사태 진화에 나섰다. 당장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발생에 따른 유동성 문제를 우려하고 있지만, 사태의 배경이 코로나19 이후 누적된 대출 부실이 정상화하는 과정인 만큼 작년 ‘레고랜드 사태’처럼 시스템적 위기로 번질 가능성도 경계하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7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통해 모든 정책 수단을 다 활용해서 새마을금고를 이용하는 국민들의 재산상 손실이 발생하지 않겠다며 정부를 믿어달라고 호소했다.
김 위원장은 당초 10일 아침으로 정했던 간담회 기사 엠바고(보도유예)를 간담회 당일로, 간담회 시간도 기존 9시30분에서 8시20분으로 약 1시간 앞당겼다. 새마을금고 영업시간 전에 예금이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소관으로 금융당국은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통해 관리?감독에 공조할 뿐 직접적인 개입은 어려운 구조다. 이 때문에 최근 금리 인상이 시작됐을 때 저축은행과 다른 상호금융사의 부동산 관련 대출에는 금융당국의 엄격한 관리감독이 적용됐는데, 새마을금고에는 비교적 규제가 느슨해 대출 수요가 몰렸다.
행안부가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가 건설업·부동산업에 내준 기업대출 잔액은 56조4000억원, 연체율은 9.23%다.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과 비슷한 성격인 ‘관리형토지신탁’ 대출을 주로 취급한다. 관련 대출 잔액은 지난 2020년 2조8795억원에서 2021년 9조992억원, 2022년 15조원을 돌파한 상황이다.
금융당국이 소관이 아닌 새마을금고발 위기 진화에 전력을 다하는 것은 이번 사태가 금융 시스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미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를 포함한 전 업권의 부동산 PF 대출 채권의 부실화를 막기 위한 PF 대주단을 지난 4월말부터 추진·점검하고 있다. 그간 누적 기준 91개 사업장에 대해 PF 대주단 협약이 적용되고 있다. 이 중 66개 사업장이 만기유예 등 정상화 작업 진행되고 있지만, 이들은 분양가 인하 등 손실을 감내한 결정을 내렸다.
일단 금융당국은 최근 점검에서 새마을금고는 최근 연체율이 상승 추세지만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PF·공동대출의 경우 높은 상환순위 및 담보인정비율(LTV) 감안 시 회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같은 금융당국의 판단에도 예금자들이 불안감에 대량 인출에 나서게 되면이야기는 달라진다. 시중은행도 20조원 이상 예금이 빠져나가면 무너질 수 있다. 2월 이후 두 달간 새마을금고 예금 잔액은 6조9889원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 12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 지점별 유동성 비율은 MG신당 61.04%, MG영암우리 64.49% 등 유동성 비율이 70%도 되지 않는 곳도 있었다. 저축은행의 경우 유동성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자칫 유동성 문제가 연쇄적으로 발생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하는 등 고금리 상황이 지속하면 새마을금고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위기가 발생할 수 있다”며 “지금 상황은 당장 한 업권에 국한된 위기가 아니기에 금융당국에서 초기 진화에 더 신경을 쓰는 양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