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노조가 이틀간의 총파업을 끝내고 병원별 현장 파업과 교섭으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비정규직 문제가 걸려 있는 양산부산대병원 등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 병원 노조는 업무에 복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노조 측은 “보건복지부와 남은 쟁점에 대한 협의를 계속 진행해 의미 있는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제2의 산별 총파업 투쟁에 나설 것”이라며 추가 파업의 여지를 열어놨다.
당초 무기한 파업 방침까지 천명했던 노조가 총파업을 연장하지 않기로 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무엇보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방사선사 등 4만여 명의 파업 동참으로 의료 현장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지면서 파업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업무개시 명령을 검토하겠다는 정부의 강경 입장에 부딪혀 더이상 파업을 끌고가는 게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총파업은 일단락됐지만 이미 적잖은 의료 공백이 발생한 상황에서 환자들이 겪는 피해와 불편은 한동안 지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미뤄진 진료로 가중된 업무 부담과 이로 인한 운영 차질을 피하기 어렵다. 병원들이 수술 일정을 취소하고 입원환자들을 퇴원시키면서 인근 병원은 구급차와 환자들이 몰리는 파업 ‘풍선 효과’에 몸살을 앓았다. 교통사고 환자와 패혈증 위험 환자 등이 응급처치만 받은 상태로 인근 중소병원의 입원실을 찾아 전전하기도 했다. 보건의료노조는 결과적으로 얻은 것 없이 이런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