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리 인상 사실상 종결 예금 장단점 고려해야 경기 침체 대비할 수 있는 장기 채권 글로벌 자산배분형 펀드로 분산 투자
황윤미 SC제일은행 청담역지점 차장
Q. 2022년 하반기(7∼12월) 고금리 정기예금에 보유 자산의 대부분을 편입했던 고객 A 씨는 해당 예금의 만기가 돌아오면서 고민이 커졌다. 연 5% 수준이었던 지난해와는 달리 최소 1∼1.5%포인트 이상 낮아진 현 금리(3.5∼4.0%)가 탐탁지 않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의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고 있고, 미국 은행들의 파산 소식도 심심치 않게 들려와 불안감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예금보다는 높은 금리를 추구하면서도 변동성을 낮출 수 있는 솔루션을 찾고자 상담을 요청했다.
A. 올 들어 은행에서 거래하는 고객의 가장 많은 문의사항 중 하나는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될까’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해 3월부터 올해 5월까지 총 10회 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상단 기준 0.25%→5.25%)함에 따라 미국의 기준금리는 2007년 이후 1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속적인 긴축에도 불구하고 최근 발표된 미국의 주요 지표들이 호조를 보이면서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강화되고 있다. 연준은 점도표를 통해 연말까지 두 차례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는 포트폴리오에 기반한 현명한 자산 배분이 더욱 중요한 만큼 만기가 긴 국내 장기 채권 및 자산배분형 펀드로 접근해 보기를 제안한다. 정기예금의 확정 이자처럼 채권은 확정된 이표 금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만기까지 유지하면 투자 원금과 함께 이자를 회수할 수 있는 안정적 수단이 될 것이다. 당장은 긴축 불확실성에 따른 금리 상승 압력이 유지되더라도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물가 통제를 위한 긴축으로 과잉 대응하면서 경기 부담이 커진다면 결국 시장금리의 하락세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예상치 못한 경기 침체 이벤트에 대비하는 수단으로서 채권 중에서도 장기물에 대한 매력도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자 수익뿐만 아니라 자본 차익을 추구할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불확실한 경기 여건 속에서 하나의 솔루션으로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글로벌 자산배분형 펀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채권, 주식, 원자재 등을 한 바구니에 담아 전문가가 매월 리밸런싱을 통해 적정 비율의 자산 배분을 지속한다는 점에서 수익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황윤미 SC제일은행 청담역지점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