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개교한 한국에너지공대(한전공대)의 교직원들이 연구비를 부적절하게 사용하고 시간외수당을 부정 수령하는 등 다수의 비위를 저지른 사실이 정부 감사에서 드러났다. 그제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를 이유로 한전공대 이사회에 총장 해임을 건의하고 비위 관련자 6명에 대한 징계 및 83건에 대한 주의·경고 처분을 요구했다.
산업부의 감사 결과를 보면 교수, 직원 등의 법인카드 부정 사용 건수는 총 264건, 금액은 1억2600만 원에 이른다. 사실상 혈세로 운영되는 학교의 부정과 비위는 당연히 바로잡아야 한다. 하지만 다른 대학의 감사 사례와 비교하면 총장을 해임해야 할 정도로 중대한 비위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각에서 전 정부가 추진한 사업을 흠집 내기 위한 ‘표적감사’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한전공대는 설립 단계부터 찬반 논란이 분분했다. 에너지 인재 육성과 기술 경쟁력 확보, 지역 균형 발전 등을 위해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게 찬성 논리였다. 반면 에너지 관련 학과가 개설된 특성화대학이 이미 많고 학령인구도 감소하고 있는데 굳이 대학을 설립해야 하느냐, 재원의 상당 부분을 책임져야 할 한국전력의 누적적자가 40조 원을 넘는 상황에서 10여 년간 1조 원을 투입하는 게 적절하냐는 등의 비판도 제기돼 왔다.
정부는 한전공대를 제대로 정상화할지 말지 방향성부터 확실하게 밝혀야 한다. 존치하겠다면 설립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제대로 지원하고, 필요 없다고 본다면 구체적인 대안과 계획을 내놓고 설득해야 한다. 한전공대는 여야 합의로 제정된 특별법에 근거해 설립됐다. 감사와 지원 축소 등으로 우회적으로 압박할 게 아니라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근본적인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