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한국,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활성 단층 분석이 숙제

입력 | 2023-08-01 08:41:00

12일 오후 경북 경주 남남서쪽 8km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5.1과 5.8 규모의 지진으로 부산 영도구 H아파트 앞 주차장 바닥에 균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6.9.12/뉴스1 


한국의 지진 경보 체계는 단기간에 개선됐지만 지진 대비의 기초 자료는 아직 미진하다. 현장에서는 기초 자료의 빠른 완성을 위해서는 국민 협조가 중요하다고 호소한다.

1일 과학계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규모 6이상 지진 발생이 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손문 부산대학교 교수는 “한국은 규모 7이 넘는 지진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6.5에서 7 정도의 가능성은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진 대피에 활용되는 경보는 현재 10초 정도에 이뤄지고 있다.

전북 장수군 지진은 29일 오후 7시7분59초 발생해 2초 후 최초 관측이 이뤄지고 관측 8초 후 지진 속보가 발표됐다.

2015년 관측 후 지진조기경보(규모 5.0 이상 대상)까지 50초가 걸렸지만 2017년 15~25초, 2018년 7~25초, 2021년에는 5~10초로 단축됐다.

규모 3.5 이상 5.0 미만을 대상으로 나오는 ‘지진 속보’도 2023년에는 관측 후 10초 안에 발표되고 있다. 1월 강화 해역 지진은 관측 후 9초 만에 5월 강원 동해 해역 지진은 관측 6초 후에 속보가 발표됐다.

지진 조기 경보 속도의 비약적 발전은 촘촘해진 지진 감시망과 분석 기술의 발달 덕이다.

2018년에 기상청은 156개의 관측소를 운영했지만 현재는 297개소가 지진을 감시하고 있다. 아울러 다중 분석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분석기술도 고도화됐다.

다만 급성장한 경보 체계와 비교해 지진 원인 분석 및 대비에 필요한 기초자료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미래에 지질학적 활동이 예측되는 단층을 ‘활성 단층’이라고 부른다.

국내 활성단층은 1992년 최초로 발견됐지만 주로 원자력 시설 안전 차원에서 연구가 이뤄졌고 국토 전반 대상 조사는 2017년에야 시작됐다.

‘한반도 단층 구조선의 조사 및 평가기술 개발’ 사업은 한국의 육상 전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5년씩 조사해 ‘활성 단층 지도’를 만든다. 동남권은 조사가 완료됐으며 현재는 수도권 및 충청권 조사가 추진되고 있다.

사업을 이끌고 있는 손문 부산대학교 교수는 “어느 정도의 지진이 단층을 따라 일어날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게 된다”며 “병원, 학교 등 다중 이용시설의 내진 기준 강화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조사를 마친) 동남권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국가 시설, 다중 이용 시설 등 보강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단은 항공 라이다(LiDAR)와 지형학, 고지진학, 구조지질학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 도시, 택지 개발 전의 항공 사진과 지하 시설 개발 당시 만들어진 시추 자료 등도 활용 중이다.

활성 단층의 직접 증거를 확보하려면 굴착 조사(시추)가 필요하지만 개인 토지 사용 허가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손문 교수는 “땅에 두릅을 심었기 때문에 (조사하면) 안 된다고 주민 반발을 받기도 했다”며 “농사짓는 시기를 피해서 수확 후에 시추하기도 한다. 아직은 국민의 협조가 미진해 정부 차원의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