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늦둥이 딸에 애틋함 담고, ‘포테이토칩’ 애칭 부르고… ‘딸바보 아빠’는 변치않네

입력 | 2023-08-03 03:00:00

[한시를 영화로 읊다]〈63〉아빠와 딸



영화 ‘파더 앤 도터’에서 제이크는 어려움 속에서도 딸 케이티와 함께 보내는 시간을 소중히 여긴다. BoXoo엔터테인먼트 제공


남아선호 풍조가 강했던 전통사회에서 딸에 대한 깊은 사랑을 드러낸 한시가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당나라 백거이는 딸에 대한 애틋한 마음을 몇몇 시에 담았다.

시인이 혹독한 정치적 시련을 겪던 마흔다섯에 아라가 태어났다. 천진난만한 딸이 자신의 발을 껴안고 놀고 옷을 베개 삼아 자는 모습이 사랑스러웠지만, 늦둥이 딸을 둔 나이 든 아빠로서 고민도 많았다.(‘弄龜羅’) 시인은 지방관으로 머물던 타지 관사에서 새끼 새를 보며 딸을 떠올렸다. 딸을 ‘내 새끼’라 호칭한 시의 제목이 여기에서 유래했다.(‘官舍’)

시인이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을 ‘내 새끼’라고 불렀다면, 가브리엘레 무치노 감독의 영화 ‘파더 앤 도터’(2015년)에는 딸을 ‘포테이토칩’이란 애칭으로 부르는 딸바보 아빠가 나온다. 소설가인 제이크는 아내가 죽은 뒤 홀로 어린 딸 케이티를 키우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제이크가 딸을 바라보며 건강 문제와 평단의 혹평을 견뎌냈다면, 시인은 절망적인 현실 아래 늦둥이 딸을 통해 위안을 얻었다.

제이크가 딸을 생각하면서 쓴 마지막 소설처럼, 시인도 딸에게 남기는 편지처럼 시를 썼다. 시인은 딸과 함께할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음을 예감했다. 아빠와 딸의 이와 머리카락이 노년과 유년의 징표로 대조되는 것이 유머러스하면서도 서글프다. 시인은 그저 딸이 자신의 사랑을 잊지 않길 바랄 뿐이었다.

부녀 사이 곡진한 정을 담은 시와 영화를 보며 옛사람의 마음도 지금과 다를 바 없음을 확인한다.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