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신규 회원국 가입 앞둔 브릭스, 몸집 키워 G7에 도전장

입력 | 2023-08-06 10:13:00

중국, 서방 대항해 영향력 확대할 의도… 인도 견제가 변수




브릭스(BRICS)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국가 이름에서 영어 알파벳 첫 글자를 따와 부르는 신흥경제 5개국 모임을 말한다. 미국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짐 오닐 이코노미스트가 2001년 처음으로 이 단어를 썼다. 오닐 이코노미스트는 ‘브릭스를 꿈꾸며: 2050년으로 가는 길’이라는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2050년 브릭스 회원국이 프랑스, 독일, 캐나다 등을 제치고 세계 7대 경제대국 반열에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브릭스 2023 정상회의’는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개최된다(위). 중국이 지난해 6월 주최한 ‘브릭스 2022 정상회의’에서 회원국 정상들이 화상 회의를 하고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부 제공, 중국 정부 제공]




국토 넓고 인구 많은 브릭스

당시 보고서에 언급된 ‘BRICs’는 남아공을 제외한 4개국이었다. 브릭스는 2009년 6월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첫 정상회의를 갖고 사실상 경제협력체를 출범했다. 이후 2011년 4월 중국 하이난성 싼야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남아공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여 5개국 연합체가 됐으며, BRICs가 BRICS로 바뀌었다. 브릭스는 최근 신규 회원국 가입을 통해 다시금 몸집을 키우려 하고 있다.

브릭스의 공통점은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다는 것이다. 브릭스의 국토 면적은 지난해 기준 전 세계에서 30%를 차지한다. 인구 비중 또한 42%에 달한다. 엄청난 인구는 거대한 내수시장을 형성할 수 있고 노동력 차원에서도 막강한 힘을 발휘한다. 실제로 브릭스 회원국 중 브라질(면적 5위/인구 5위), 러시아(면적 1위/인구 9위), 인도(면적 7위/인구 1위), 중국(면적 4위/인구 2위) 등 4개국은 국토 면적과 인구 규모 면에서 세계 10위에 드는 대국이다. 브릭스는 지난해 기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6%, 교역의 20%, 외환보유고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브릭스는 세계은행에서 의결권의 14.06%, 국제통화기금(IMF) 총지분의 14.15%를 보유하고 있다.

막강한 경제력을 갖춘 브릭스가 새로운 회원국을 가입시키는 등 세력 확대에 나서며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선진국 모임인 주요 7개국(G7)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G7 회원국은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캐나다, 이탈리아 등 모두 서방으로 불리는 나라다. 이들 7개국은 자유민주주의와 법치, 인권 등 공동가치를 공유하는 경제대국이자 군사 강국으로서 국제질서를 좌지우지해왔다. G7은 지난해 기준 전 세계 인구의 10%를 차지하지만 GDP는 27%를 기록하고 있다.

IMF는 2028년까지 브릭스의 세계 경제성장 기여도가 33.6%에 이르고, G7은 27.8%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브릭스는 세계 경제성장의 32.1%, G7은 29.9%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G7의 GDP는 여전히 브릭스보다 높고 생활수준도 브릭스를 훨씬 넘어선다. 하지만 IMF 전망처럼 향후 브릭스가 세계 경제성장 기여도에서 G7을 앞설 가능성이 무척 크다. 실제로 지난해 기준 구매력 평가를 보면 브릭스의 GDP는 전 세계의 31.5%, G7은 30.8%를 차지했다. 향후 5년간 세계 경제성장률에 가장 많이 기여할 국가는 중국이며, 그 기여도는 미국의 2배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IMF의 세계 경제전망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8년까지 중국의 세계 경제성장률 기여도를 22.6%, 인도는 12.9%, 미국은 11.3% 등으로 예상했다. 특히 브릭스가 신규 회원국들을 가입시킬 경우 경제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우군 필요한 중국


브릭스는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신규 회원국 가입 문제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는 우크라이나 침공 등 전쟁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의 체포영장이 발부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제외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이 참석한다. 브릭스 자체 집계에 따르면 22개국이 가입을 요청한 상태다.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바레인,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알제리, 이집트, 세네갈, 에티오피아, 나이지리아, 멕시코, 아르헨티나,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인도네시아,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짐바브웨, 벨라루스, 쿠바, 방글라데시 등으로 알려졌다.

브릭스에 가입하려는 국가가 많은 것은 지난해 의장국이던 중국이 미국 등 서방의 압박과 제재에 맞서 자국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의도와 맞닿아 있다. 중국이 브릭스 확대를 제안하며 내놓은 구상이 ‘브릭스+(플러스)’다. G7에 필적하는 세력을 갖기를 강력하게 원하는 중국은 유력한 국가들을 신규 회원국으로 가입시키기를 바라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제재로 우군이 필요한 러시아도 중국의 신규 회원국 대폭 확대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인도는 중국과 러시아가 신규 회원국을 끌어들여 브릭스를 주도하려는 것에 거부감을 보여왔다. 특히 회원국 확대가 중국의 전략적 영향력만 키울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인도는 G7이 주도하는 글로벌 국제질서에 개혁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새로운 세계질서가 중국이나 러시아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가서는 곤란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사우디·이란 브릭스 가입 시 영향력↑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주도하는 네옴시티의 ‘옥사곤’. [네옴시티 제공]


브라질도 인도 입장에 어느 정도 동조하고 있다. 신규 회원국 가입은 기존 회원국들의 만장일치로 결정되기 때문에 인도가 어떤 입장을 보이느냐가 중요하다. 이 맥락에서 인도는 중국과 러시아를 추종하는 일부 국가의 가입에 반대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신규 가입이 유력한 후보국은 사우디를 비롯해 아랍에미리트연합, 이집트,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등 5개국이다. 여기에 이란과 튀르키예도 가입 가능성이 있다. 특히 미국과 관계가 소원해진 데다, 네옴시티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투자 유치와 역내 안정이 절실한 사우디가 브릭스 가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사우디는 원유 수출 부문에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고, 원유 매장량은 베네수엘라에 이어 세계 2위다. 서방의 오랜 경제제재로 어려움을 겪어온 이란도 사우디 못지않게 브릭스 가입을 희망한다. 이란은 천연가스 매장량이 러시아에 이어 세계 2위다. 원유 매장량은 세계 4위다.

브릭스 입장에선 중동 지역 양대 국가인 사우디와 이란이 회원국이 될 경우 중동 지역은 물론, 국제무대에서도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 대국일 뿐 아니라, 천연자원도 풍부하다. 식량 생산 대국인 아르헨티나는 각종 광물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 브릭스가 이들 가운데 어떤 국가를 가입시킬지는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다.

브릭스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달러화를 대체할 공동통화 도입 방안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브릭스가 공동통화를 당장 출범시키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번 회의에선 공동통화의 개념과 필요성 등만 원칙적으로 합의할 전망이다. 아닐 수클랄 주브릭스 남아공 대사는 “공동통화 도입 문제는 브릭스 전문가들이 논의하고 있다”며 “상호 무역과 투자에서 브릭스 회원국이 자국 통화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이 우선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다. 브릭스는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선 대화와 외교로 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적극 지지할 것으로 보인다. 브릭스 회원국 중 서방의 러시아 제재에 동참해온 국가는 없다.



회원국 결속력 약한 브릭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회의를 하고 있다. [일본 정부 제공]


브릭스는 신규 회원국을 가입시키는 등 몸집을 키워 G7을 대신해 새로운 국제질서의 중심축이 될 수 있을까. 물론 브릭스가 신규 회원국을 대거 늘리면 세계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브릭스는 산업 경쟁력이나 기술력 측면에서 G7에 미치지 못하고, 교역에서 G7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 문제다. 실제로 브릭스에서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이 산업 경쟁력과 기술력 측면에서 G7 회원국을 추월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지난 20년간 브릭스 성장은 대부분 중국이 담당했다. 브릭스 전체 GDP에서 중국의 비중은 70%에 달한다.

더욱 중요한 점은 브릭스는 동맹을 기반으로 한 연합체가 아니기에 회원국 간 결속력이 약하고, 안보 문제에서 한목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인도는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반미·반서방 노선에 반대의 뜻을 분명히 밝혀왔다. 인도는 미국, 일본, 호주 등이 중국을 견제하고자 인도·태평양 지역에 만든 4개국 안보협력체 쿼드(Quad) 회원국이다. 인도는 미국 주도로 만들어진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도 참여하고 있다. 브라질과 남아공도 브릭스의 일방적인 반미·반서방 노선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브릭스가 과거 냉전시대처럼 G7에 대항하는 반미·반서방 협력체가 되기는 어렵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브릭스 확대는 G7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는 주간동아 1401호에 실렸습니다〉





이장훈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truth21c@empa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