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선장
배의 위치를 구하는 것도 항해자들의 큰일이었다. 해뜰 무렵과 해가 질 무렵에 별자리를 잡아서 위치를 구했다. 날이 흐리게 되면 무용이 되었다. 날씨와 관계없이 위치를 구하기 위해 로란과 오메가라는 전파항해 방법을 개발했다. 인공위성이 발사되면서 경도와 위도를 바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미 해군이 시작했고, 이것이 내비게이션으로 발전했다. 바다에서는 1마일의 오차는 문제가 아니다. 자동차의 내비게이션은 1m의 오차도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발전했다.
반면 육지의 과학문명이 바다에 사용되는 것도 있다. 선박의 방향타인 조타기(rudder)에 붙어 있는 아연붙이(Zinc)의 사연도 재미있다. 아연은 자신의 주위에 있는 철물에 가해지는 부식을 대신 해주는 일을 기꺼이 한다. 충성심이 강하다. 조타기에 아연을 붙여두면 조타기는 멀쩡하고 징크만 부식된다. 징크만 갈아주면 된다.
기체와 액체의 성질은 다르다. LNG는 천연가스를 액화한 것이다. 이 연료는 처음 캐낼 때는 기체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까지 이를 이동시켜야 한다. 가벼운 기체를 수천 마일 떨어진 곳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어떻게?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가 물이 된다는 성질을 이용했다. 액화하면 선박에 실을 수 있다. 항해 중에도 ―163도가 지속돼야 액체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창이 특수해야 한다. 선박에서 가정으로 보급할 때는 액체를 다시 기체로 만들어준다. 이렇게 기체가 된 천연가스를 가스공사에서 배관을 통해 독자들의 가정에 보내준다.
15세기 대양항해시대가 열리면서 시작된 과학문명의 발달은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제 선박은 모든 첨단과학의 테스트 베드이자 그 활용의 종착점이라고 할 수 있다.
김인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선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