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두 번째 정찰위성 발사 시도를 논의하기 위해 공개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이사국은 아니지만 남북한 대표가 참석해 설전을 펼쳤다.
김성 유엔 주재 북한 대사는 25일(현지시간) 공개발언에서 “우리 위성 발사는 국제법이 인정하고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주권 국가의 독립적이고 합법적인 훈련”이라며 그들이 투명성 제고를 위해 사전 통보를 거쳤다고 했다.
이어 “위성 발사는 이웃 국가의 안보에 아무런 해도 가하지 않았다”며 “위성 발사는 미국과 그 추종자들의 증가하는 적대적 군사 행위를 억제하기 위한 합법적인 자기방어 권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어떤 국가가 자국의 안보 환경을 막대하게 위협하는 상황에 손 놓고 있겠나”며 “오히려 지금의 안보리의 불공정하고 편향되며 무책임한 행동이 한반도와 동북아 상황을 재앙으로 몰고 갈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황준국 우리 유엔대사는 “성공 여부를 떠나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하는 모든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 추가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며 “그게 안보리가 지난 2017년까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 사용을 금지하는 많은 결의안을 반대나 기권 없이 만장일치로 채택해 온 이유”라고 김 대사의 발언을 지적했다.
또한 안보리에서 북한을 두둔해 온 중국과 러시아를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황 대사는 “일부 대표들이 소위 ‘한국과 미국의 적대적 정책’이 도발의 근원이라는 북한의 가짜 주장을 되풀이하는 건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커지는 위협이 우리가 미국과 협력해 확장억제를 강화하는 진짜 이유”라며 “국제사회의 단합된 목소리, 그리고 모든 유엔 회원국의 안보리 결의안 이행이 북한을 압박한 유일한 수단”이라고 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미국 대사는 북한의 정찰위성 탑재 미사일 발사가 실패로 끝났지만 여전히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영국과 프랑스 등 상임이사국을 비롯해 일본과 알바니아 등 대부분의 이사국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지만,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의안이나 의장성명 등 구체적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polaris2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