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장바구니 들 힘도 없었지만…‘신궁’ 김진호는 어떻게 韓양궁 신화가 되었나[이헌재의 인생홈런]

입력 | 2023-08-27 12:00:00


한국 양궁의 ‘원조 신궁’ 김진호 한국체대 교수는 올해부터 대학원장을 맡아 바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

한국 양궁은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강이다. 한국 양궁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첫 금메달을 딴 이후 2021년 도쿄 올림픽까지 역대 올림픽에서 금메달 27개, 은메달 9개, 동메달 7개 등 총 4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사상 최초로 전 종목(남녀 개인전 및 단체전)을 석권했다. 여자 대표팀은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단체전 9연패의 위업도 달성했다.
한국 양궁의 국제대회 첫 메달은 1978년 방콕 아시안게임에서 나왔다. 김진호 한국체대 교수(62)와 오영숙, 황숙주가 팀을 이룬 여자 대표팀이 단체전에서 은메달을 딴 것이다. 당시 예천여고 2학년이자 팀의 막내였던 김진호는 개인전에서는 금메달을 따냈다. 한국 양궁 금메달 신화의 시작이었다.


1978방콕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김진호 교수. 그가 이 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후 한국 양궁의 금메달 잔치가 시작됐다. 동아일보 DB


역사적인 김 교수의 첫 금메달에는 의외의 사실이 하나 숨겨져 있다. 당시 그가 대회에 들고 나간 활은 선수용 활이 아닌 연습용 나무활이었다. 그는 “그해 방콕 아시안게임은 한국 양궁 선수단이 처음 출전한 메이저 국제대회였다. 다른 나라 선수들은 장력이 좋은 플라스틱 재질의 활을 사용했는데 나는 열악한 나무활을 들고 대회에 나갔다”며 “당시 팔 힘이 약했던 내가 그 연습용 활로 금메달을 땄으니 지금 생각해도 너무 신기하다”고 말했다.


1979년부터는 플라스틱 재질의 선수용 활을 쓰기 시작한 그는 그해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30회 세계선수권대회에서 5관왕에 오르며 한국 양궁 최초의 ‘신궁(神弓)’이 됐다.

지금도 그렇지만 선수 시절 그는 날씬하다 못해 호리호리한 체형이었다. 유연성과 지구력은 나쁘지 않았지만 근력이 약했다. 스스로도 “아마 선수촌에서 가장 힘이 약했던 선수가 나였을 것”이라며 “무게를 드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잘하지 못했다. 한마디로 한심스러울 정도였다”고 했다.
힘이 워낙 약하다 보니 그가 쏜 화살은 직선보다는 큰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곤 했다. 그가 쏘는 화살의 90% 이상이 오조준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그렇게 얇은 팔로 활을 어떻게 쏘냐”고 묻곤 했다. 그러면 그는 항상 이렇게 답했다. “활을 힘으로 쏘나요. 요령으로 쏘는 거죠.”


김진호 교수가 1988년 서울올림픽 홍보용으로 찍은 사진을 들어 보이고 있다. 동아일보 DB


하지만 장바구니도 제대로 들지 못할 정도로 근력이 약했던 그도 누구보다 잘하는 게 하나 있었다. 바로 산행이었다. 태릉선수촌 시절 금요일 오후 ‘불암산 등산’은 많은 선수들이 힘들어하는 훈련이었다. 하지만 그는 불암산 산행을 누구보다 즐겼다. 그는 “등산의 매력 중 하나는 스스로와의 싸움이라는 것이다. 불암산에서 가장 힘들다는 ‘깔딱고개’를 넘고 나면 ‘뭔가를 해냈다’는 희열을 느끼곤 했다”고 말했다. 체력 측정에서는 항상 꼴찌였지만 불암산 산행만큼은 항상 1등이었다.



앳된 얼굴의 김진호 교수. 고교생 신분으로 국제대회 금메달을 여럿 땄다. 동아일보 DB


산에 대한 그의 애정은 지금도 여전하다. 얼마 전부터는 겨울산의 매력에도 푹 빠졌다. 2021년 그는 안식년을 받아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언니 집에 두 달가량 머물렀다. 그곳에서 그는 일주일에 두 번씩 토론토 주변 눈 덮인 산들을 올랐다. 그는 “두 발이 눈에 푹푹 빠지는 산길을 한 번에 3~4시간씩 걸었다”며 “겨울산이 그렇게 매력적이라는 것을 처음 느꼈다. 순백으로 덮인 그 아름다움을 보는 즐거움이 정말 컸다”고 했다.


작년 12월에는 제주도 전지훈련을 마친 한국체대 양궁부를 데리고 한라산 정상에도 올랐다. 전지훈련에 참가했던 23명 전원과의 겨울 한라산 등반에 대해 그는 “너무 아름다운 광경에 노래를 부르면서 올라갔다”며 “처음에 다소 힘들어하던 아이들도 정상을 밟고는 그렇게 좋아할 수가 없었다”고 했다.
그와의 산행이 거의 처음이었던 많은 선수들이 그가 가벼운 발걸음으로 산을 타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그는 “산에 가자고 하는 말이 가장 듣기 좋다. 언젠가는 네팔 히말라야 트레킹에도 한 번 도전해 보고 싶다”고 했다.

지난해 12월 눈 덮인 한라산을 오른 김진호 교수. 선수 시절부터 그는 산을 유독 좋아했다. 김진호 교수 제공


그가 인생에서 꼽는 또 하나의 즐거움은 먹는 것이다. 그는 “먹는 낙으로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삼시세끼 잘 챙겨 먹고 간식도 수시로 먹는다”며 “학교 내에서도 ‘김진호 교수 방에 가면 먹을 게 많다’는 소문이 났을 정도”라며 웃었다.


실제로 그의 연구실에는 커피와 차,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과자와 과일 등이 가득하다. 그는 “어릴 때부터 먹는 걸 조절하거나 하지 않고 마음껏 먹는 편”이라며 “잘 먹고 행복한 게 최고”라고 했다. 그는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하면 오히려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다”며 “주변 지인들에게도 배가 좀 나오더라도 잘 먹어서 감기 등에 걸리지 않는 게 더 낫다고 말해준다”고 했다.


김진호 교수가 제주 전지훈련 중 말타기 체험을 하고 있다. 김진호 교수 제공


하지만 먹는 양에 비해 그는 여전히 날씬한 몸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이에 대해 “일상생활에서 사치는 하지 않더라도 먹는 데에는 아끼지 말자는 주의다”라며 “이왕에 먹는 거라면 최대한 몸에 좋은 음식으로 먹으려 한다”고 했다.
그는 햄버거와 피자 같은 패스트푸드는 잘 먹지 않는다. 콜라나 사이다 같은 탄산음료도 멀리하는 편이다. 튀김 음식도 잘 입에 대지 않는다. 하지만 패스트푸드를 아예 먹지 않는 건 아니다. 이왕에 햄버거를 먹을라치면 고급 재료를 쓰는 수제버거와 쥬스를 먹는 식이다. 닭고기도 튀김 닭보다는 백숙 위주로 즐긴다. 곰탕이나 설렁탕 등을 먹을 때는 소금이나 양념 등을 넣지 않는다. 그는 “외식을 하기보다는 주로 집에서 음식을 해 먹는 편”이라며 “뷔페 등을 갈 때면 샐러드나 과일 위주로 실컷 먹는다”라고 했다.

1995년부터 모교인 한국체대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그는 올해 1학기부터는 대학원장의 중책을 맡았다. “어느덧 이 학교에서 30년간 몸담고 있다. 후배들을 위해 많은 걸 해주지도 못하면서 이렇게 한 자리에 오래 있다는 것 자체가 참으로 감사한 일”이라며 “이제 은퇴까지 3년여가 남았다. 은퇴하기 전 마지막으로 봉사하는 마음으로 대학원장 직을 맡게 됐다. 학교를 위해, 또 양궁부를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김진호 교수는 2018년 대한체육회가 선정한 스포츠영웅에 뽑혔다. 동아일보 DB


‘신궁’으로 활동할 당시부터 그는 공부에도 관심이 많았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딴 뒤 그는 은퇴를 하고 공부를 하려 했다. 실제로 몇 달 간 손에서 활을 놓았다. 하지만 1986년 서울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다시 활을 잡고 선수 생활을 이어가게 됐다. 그는 “당시 장학금을 받고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에 입학하기로 모든 절차가 끝난 상황이었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 참가해 보라는 주변의 조언을 받아 들였다. 거기서 인생이 다시 한 번 바뀐 것 같다”고 했다. 그해 아시안게임에서 그는 3개의 금메달을 추가한 뒤 은퇴했다.
앞으로의 인생에 대해 그는 “무엇보다 지금처럼 건강했으면 좋겠다. 건강만 허락한다면 하고 싶은 일이 너무 많다. 악기도 배워보고 싶고, 시도 써 보고 싶고, 책도 내 보고 싶다. 그동안 양궁 외길을 걷느라 해 보지 못했던 많은 것들을 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헌재 기자 un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