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부산 목욕탕 1차 폭발후 주민 접근 안막아, 2차 폭발에 23명 부상

입력 | 2023-09-04 03:00:00

큰불 잡은 뒤 14분만에 2차 폭발
화재 현장 주변 주민 6명도 다쳐
“통제 제대로 안해 피해 키워” 지적
당국 “유증기가 폭발 원인인 듯”




1일 발생한 부산 동구 목욕탕 폭발이 유증기(기름 성분이 많이 섞인 공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1차 폭발 후 현장을 통제하지 않은 탓에 2차 폭발 때 인근 주민과 소방관 등 23명이 다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유증기가 폭발 원인 추정”

폭발 현장 감식 2일 오후 소방과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 등으로 꾸려진 합동감식반이 부산 동구 목욕탕 폭발 화재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건물 내부로 들어가고 있다. 전날(1일) 오후 이 목욕탕에서 강력한 폭발과 화재가 발생해 주민과 소방관 등 23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부산=뉴시스 

3일 부산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1일 부산 동구 좌천동 4층 목욕탕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유증기에 따른 폭발’로 추정하고 있다. 전날(2일) 오후 1차 합동감식에 동참했던 김태우 국립소방연구원 화재안전실장은 “목욕탕 지하 1층에 유류저장탱크가 있었다. 단정할 수는 없지만 유증기가 폭발의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통상 유증기는 다른 점화원을 만나 폭발을 일으킨다. 하지만 소방당국은 유증기가 어떤 점화원에 의해 폭발했는지는 아직 밝히지 못했다. 당국은 4일 오전 2차 감식 때 바닥의 물과 유증기를 모두 배출한 뒤 정확한 폭발 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다.

인세진 전 우송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정확한 원인은 정밀 감식을 해봐야 알겠지만 상온에선 기화되지 않는 액체가스가 1차 화재 이후 실내 온도가 5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유증기로 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더 강한 2차 폭발이 발생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1차 폭발 후 주민 통제 안 해 대규모 피해

1차 폭발 직후 소방과 경찰 등의 대응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첫 폭발이 발생한 건 1일 오후 1시 40분경이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원들이 서둘러 대처해 오후 2시경 큰 불길을 잡는 초진을 완료했다. 소방당국과 경찰은 모든 화재가 진압된 것으로 보고 주민들의 접근을 통제하지 않았는데 14분 후인 오후 2시 14분경 2차 폭발이 발생했다. 부상자 23명은 모두 2차 폭발 때 피해를 입었다.

목욕탕과 약 30m 거리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박모 씨(46)는 1차 폭발 이후 119에 신고를 하고 노인 등을 대피시키며 목욕탕 근처에 있다가 2차 폭발 때 목과 팔다리 부분에 화상을 입었다. 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다는 그는 “굉음을 동반한 2차 폭발은 언뜻 봐도 1차 때보다 3배 이상 강력했다”며 “2차 폭발 때까지 현장 주변에 통제선 설치 등의 통제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부상자는 중상자 2명을 포함해 소방관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밖에 주민 6명, 구청 공무원 4명, 경찰 3명이 다쳤는데 주민 중에는 진압 장면을 구경하거나 근처를 지나던 경우도 있었다.

소방당국은 2차 폭발 발생 직후인 오후 2시 16분에야 ‘대응 1단계’를 발령한 뒤 현장 통제에 나섰다. 부산소방본부 관계자는 “현장 통제 미비 부분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소방당국과 경찰의 공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소방당국은 화재 신고 접수 2분 후인 오후 1시 42분경 경찰 등에 공동 대응을 요청했다. 경찰은 형사팀과 지구대 등을 투입해 현장을 통제하며 소방차 진출입로 확보 등 현장통제를 했지만 오후 2시경 초진 소식을 듣고 이후에는 주민 등을 제대로 통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어떤 위험이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혹시 모를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철저히 출입을 통제했어야 한다”며 “주민과 보행자 등에 대한 통제는 화재 진압에 바쁜 소방관보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관이 해야 하는 역할”이라고 지적했다.


부산=김화영 run@donga.com
주현우 기자 woojo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