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지역 흉물이 ‘문화 보물’로

입력 | 2023-09-08 03:00:00

[더 나은 일상으로, 공간복지]〈4〉 경기 수원시 ‘고색뉴지엄’
2005년 완공 후 사용 안 한 시설… 문화재생사업 선정돼 리모델링
배관-탱크 등 이색 공간은 살려
수원의 산업 발전사 전시하고… 재즈-연극 등 문화행사도 열어
일부는 시립어린이집으로 운영



경기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에 위치한 고색뉴지엄 지하 1층 전시홀 모습. 과거 폐수처리시설로 만들어진 이 건물은 2017년 복합문화시설로 재탄생했지만 옛 약품 탱크 등은 그대로 남겼다. 수원시 제공


경기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수원델타플렉스(옛 수원산업단지)에 가면 네모난 건물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한쪽 벽면이 큰 유리로 돼 얼핏 보면 카페 같고, 다시 보면 사무실 같기도 하다.

이 건물의 정식 명칭은 ‘고색뉴지엄’이다. 지역명인 ‘고색’과 새롭다는 의미의 ‘뉴’, 박물관을 뜻하는 ‘뮤지엄’을 조합해 이름을 지었다. 이 건물은 원래 2005년 지어진 공장 폐수 정화 시설이었다. 하지만 완공 후 본래 목적대로 한 번도 사용되지 못하고 사실상 방치됐다.

수원의 산업 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전기전자 및 정보기술(IT) 중심으로 급속하게 첨단화되면서 역할을 할 기회를 잃은 것이다.



● 폐수처리시설의 ‘부활’


10년 동안 방치됐던 이 시설은 2015년 부활의 기회를 얻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것이다. 당시 수원시는 흉물이던 폐수처리시설을 활용해 산업단지와 지역, 예술을 하나로 묶는 복합문화시설을 만들겠다고 신청했다.

수원시는 지원받은 국비에 자체 예산을 더해 문화재생사업을 진행했다. 진행 과정에선 기존 공간을 최대한 살려 역사성을 유지하는 것에 중점을 뒀다. 폐수처리시설의 느낌이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배관과 기계장치, 약품 탱크 등의 시설을 그대로 보존했다.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도 살렸다. 그렇게 1년여의 리모델링을 거쳐 2017년 11월, 폐수처리시설은 복합문화시설 ‘고색뉴지엄’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고색뉴지엄 1, 2층에는 어린이집이 자리잡고 있다. 수원시 제공 

고색뉴지엄의 1, 2층 일부는 시립어린이집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이들의 키에 맞게 공간을 리모델링했고 아이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놀이공간도 마련됐다.

1층 일부와 지하층은 복합전시문화 공간으로 꾸몄다. 이곳에는 수원의 산업 역사를 보여주는 자료가 전시돼 있다.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나며 농업과 상업을 중심으로 성장한 수원이 1960년대 섬유 산업, 1970년대 전자 산업을 중심으로 급속히 발전하는 모습이 생생하게 담겼다. 2000년대부터 IT와 바이오 등 기술집약 산업 중심으로 변모하는 과정도 볼 수 있다.

입구 오른편에는 지하로 연결되는 계단이 있다. 계단 벽면을 유리창으로 마감해 햇빛이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설계했다. 이 때문에 지하임에도 아늑한 분위기가 연출된다. 지하 전시실은 천장에 창을 만들어 자연채광이 가능하게 했다. 벽은 회색으로 칠해 일반적인 전시 공간과 다른 정취를 자아냈다. 기둥과 벽 등의 독특한 구조도 살렸다. 전시품을 즐기다 입구 왼편에 배치된 ‘폐수 종합처리기’를 보면 이곳이 예전에 폐수처리용 공간이었음을 새삼 느끼게 된다.



● 시민에게 열린 ‘복합전시공간’


전시실 내 콘크리트 벽을 배경으로 만든 미디어 작품. 수원시 제공 

전시 공간에선 개관 기획전시 ‘리본(Re-Bone) 묶는 기술’을 시작으로 사진, 회화, 미디어, 설치미술, 시화 등 다양한 장르의 전시가 진행됐다. 시민들에게도 전시 공간을 개방한다. 올 5월에는 인근 미술학원 어린이 100명의 공동 작품 14점이 전시됐다. 초등학생과 경로당 어르신, 산업단지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등을 위한 문화 행사도 활발하게 열린다. 재즈, 클래식, 국악, 연극, 마술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 행사가 번갈아 열리며 지역 주민들의 사랑방이자 명소가 됐다.

고색뉴지엄의 변신은 해외까지 알려지고 있다. 영국 비영리단체인 ‘더 그린 오거니제이션’은 고색뉴지엄을 ‘그린월드 어워즈 2018’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인근 직장에 다니는 김현정 씨는 “가까운 곳에 언제든 작품을 감상하거나 전시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 있어 좋다”며 “일반 전시관과 다른 콘크리트 벽과 남아 있는 기계 등이 공간을 더 독특하게 만드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영달 기자 dalsara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