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 내부에서 금리 정책기조에 중요한 변화가 진행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진단했다.
9월 금리 동결은 유력하지만 연말 추가 인상이 필요한지를 놓고 더 면밀하게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고 WSJ는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그동안 연준은 금리를 너무 적게 올리는 것보다 더 많이 올려 놓고 나중에 금리를 인하하는 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하지만 이제 상황이 바뀌고 있다고 WSJ는 평가했다.
WSJ는 일단 이달 19~20일 회의에서는 금리 동결로 가닥이 잡혔지만 더 큰 논쟁은 11월 혹은 12월 금리를 다시 인상할지 여부라고 분석했다.
가장 최근인 6월 점도표(금리전망표)에 따르면 연준은 금리를 올해 1차례 0.25%포인트(p) 더 올리는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면서 금리인상을 정당화할 만한 증거를 제시하기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부담감은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발언에서도 나타났다.
WSJ에 따르면 지난달 파월 의장은 연준이 다시 긴축에 나설지를 설명할 때 “할 것(would)”이라는 표현 대신 “할 수 있다(could)”라는 단어를 두 번 이상 사용했다.
영어 표현에서 좀 더 확신하는 상황의 경우 would를 쓴다는 점에서 파월 의장이 could라고 표현한 것은 긴축을 덜 확신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의 로레타 메스터 총재는 지난달 “인플레이션을 더 오래 방치하면 경제가 대가를 치른다”고 말했다.
지난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금리를 한 번 더 올린다고 경제가 반드시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는 9월 금리인상을 건너 뛰는 것이 “중단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중단을 지지하는 진영도 탄탄하다. 금리를 얼마나 더 올려야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현재 수준을 얼마나 오래 유지할 수 있는지에 관심이 집중된다. 중국과 유럽의 성장 둔화와 과거 금리 인상의 지연된 영향을 고려할 때 미국의 성장이 계속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논리다.
지난달 애틀랜타 연은의 라파엘 보스틱 총재는 내년에는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면 인플레이션 조정 또는 “실질”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며 “고용측면에서 피해가 없을 수는 없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