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그린수소 사업 가시화 자회사 아크에너지, 신재생에너지 기업 에퓨런 인수 2025년 신재생에너지 전력 비중 85% 목표 호주서 풍력 발전 전력거래계약 체결 그린수소 생산·그린암모니아 전환→국내 도입 한화와 그린수소 분야 협력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환경 규제들이 잇따라 도입되면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철강이나 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간 시장 선점 경쟁이 뜨거워지는 추세다.
제련업계에서는 고려아연이 ‘그린에너지 드라이버(Green Energy Driver)’를 자처해 성장 동력 3대 축 중 하나로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넘어 친환경 기업으로 거듭나는 변화도 시도하고 있다. 지난 2021년 국내 금속업계 최초로 ‘RE100(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에 가입했고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호주를 거점으로 신재생에너지 및 그린수소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 중이다.
○ 호주 ‘아크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전력거래계약 성과… 그린수소 실증 돌입
실제로 고려아연은 2018년부터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본격화했다. 당시 호주 자회사 선메탈스코퍼레이션(SMC) 제련소에 현지 최대 규모인 125메가와트(MW)급 태양광 발전소를 준공했다. SMC 연간 사용 전력량 25%를 태양광으로 소화한다. 이를 통해 매년 약 2700만 톤 규모 탄소배출을 줄인 셈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오는 2025년에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85%까지 끌어올리고 2040년에는 100% 수준을 맞춘다는 복안이다. 궁극적으로 2050년에는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그린징크(Green Zinc) 생산을 구상하고 있다.여기에 호주 퀸즐랜드에 들어설 923.4MW급 맥킨타이어(MAcIntyer) 풍력발전소 단지 조성사업에도 30%의 지분 투자 자격을 확보한 상태다. 이를 바탕으로 작년 10월 호주 최대 통신기업 텔스트라(Telstra)와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거래계약(PPA)’을 체결했다. 아크에너지가 보유한 맥킨타이어 재생에너지 전력량의 약 40%를 텔스트라에 공급하기로 했다. 나머지 전력은 SMC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그린수소 밸류체인 구축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을 수전해시스템을 통해 그린수소로 전환하고 이를 운송·판매하는 체계까지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송전 후 잉여 전력을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 대한 투자도 단행한 상태다.
아크에너지는 현재 SMC 제련소 내 태양광 발전소와 연계해 연간 140톤 규모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수소연료전지 트럭의 연료로 사용하는 그린수소 실증사업을 진행 중이다. 그린수소 시장 활성화가 예상되는 2030년까지 호주에서 4GW 규모 신재생에너지 단지를 개발하고 연간 28만 톤 규모 그린수소를 160만 톤의 그린암모니아 형태로 전환해 한국에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 한화·SK 참여 ‘한-호 수소 컨소시엄’, 그린수소 운송망 구축 추진
그린수소 운송 시설도 갖춰지고 있다. 고려아연은 호주 퀸즐랜드 타운즈빌 항만과 수소 운송 협약을 체결했다. 퀸즐랜드 재생에너지 구역에서는 최대 발전용량 3000MW급 그린에너지 허브를 조성하고 있다. 또한 호주에서 생산한 그린수소를 한국에서 사용하기 위한 그린 운송망 구축을 위해 작년 9월 고려아연과 아크에너지가 한화임팩트, SK가스 등과 ‘한·호 컨소시엄’을 결성했고 올해 7월 13일에는 본계약(HoA, Head of Agreement)을 체결했다.특히 한호는 암모니아 탱크터미널과 암모니아 트랙킹 설비, 수소연료전지 및 수소가스터빈 발전 시설 등 주요 인프라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작년 8월 고려아연은 한화 계열 해외수소사업 핵심 투자회사 ‘한화H2에너지 USA’로부터 약 4700억 원 규모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이어 그해 11월에는 한화와 약 1568억 원 규모 상호지분투자 계약도 체결했다. 파트너십을 강화해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 분야 협력에 박차를 가하기로 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려아연이 지난해 발표한 트로이카드라이브 신사업 전략이 부분적으로 가시화되면서 중장기 도약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사업 실적을 유지하면서 국내외 규제에 맞춰 신사업 추진 성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균형 감각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동아닷컴 김민범 기자 mbk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