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지하철 4호선 서울역. ⓒ News1
5년간 서울 지하철에서 2485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출입문 끼임 사고가 약 30%로 가장 많았다.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19~2023년) 서울 지하철 1~9호선에서 총 2485명의 안전사고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20일 밝혔다. 하루 평균 1.3명이 지하철을 이용하다 다친 셈이다.
사고 유형별로 출입문 끼임 사고가 747명(30.1%)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역 구내 사고 604명(24.3%) 열차내 사고 564명(22.7%) 승강장 발빠짐 사고 320명(12.9%) 승강설비사고 213명(8.6%) 순이었다.
치료비는 본인 과실이나 제3자 과실로 인한 경우는 제외한 수치여서 실제 부상 피해액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연도별로는 2019년 671명, 2020년 457명, 2021년 482명, 지난해 584명이었다. 올해도 지난 7월까지 291명이 부상을 당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2021년에는 다소 감소했으나 지난해부터는 다시 증가세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노선별로는 지하철 2호선이 603명으로 전체 부상자의 24.3%를 차지했다. 이어 4호선 382명(15.4%), 9호선 335명(13.5%), 7호선 278명(11.2%), 3호선 263명(10.6%) 순이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