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북한이 어떤짓을 해도 맨 앞자리 호명, 있을수 없는 일” 中 거론 안한건 “러북과 中 분리전략” 尹, 뉴욕대서 ‘디지털격차 해소’ 강조
尹, 취임후 두번째 유엔총회 기조연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유엔 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욕=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거래는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도발이 될 것이다.”
미국 뉴욕을 순방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간) 취임 후 두 번째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양국 무기 거래를 비판하면서 러시아와 북한을 ‘러-북’ 순서로 지칭했다. 통상 정부 발표에서 ‘북한-러시아’(북-러) 순으로 불러온 것과 달라진 것. 한미일 안보 협력 제도화를 기점으로 ‘한중일’을 ‘한일중’으로 부르기 시작한 윤 대통령이 북한을 비롯한 주변국을 대하는 외교 기조가 과거와 분명히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대통령실 “北, 러시아보다 더 직접적인 위협”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의 ‘러-북’ 표현에 대해 “순서 자체를 특정해 의식적으로 말씀한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민족 공조라 해서 북한이 어떤 짓을 하든 북한을 맨 앞자리에 불러줘야 한다는 것은 우리 정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에 대해 딱 정해놓은 순수한 원칙은 없다”면서도 “자유민주주의, 법치, 인권 가치에 대해 얼마나 한국과 진정으로 협력하느냐가 1차적인 기준”이라고 했다.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하며 더 직접적 위협을 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락인 만큼 북한이 뒷자리에 있었던 것”이라고도 했다.19일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첫 외교적 조치에 나선 정부는 21일 북-러 무기 거래와 관련한 대북 독자 제재에 나섰다. 이미 수개월 전부터 북한이 러시아에 재래식 무기를 지원한 정황을 포착해온 만큼 관련 후속 조치와 대러 압박에 착수한 형국이다. 정부는 러시아에 북-러 회담 결과 설명을 요청했고, 러시아는 이번 주 이를 설명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이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중국을 거론하지 않은 점도 주목된다. 중국 등 권위주의 진영을 견제할 때 사용되는 표현인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이라는 말도 사용하지 않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러시아-북한과 중국을 분리해 관리하려는 전략적, 전술적 측면 때문”이라며 “중국이 북-러 무기 거래에 거리를 두고 있는 점도 반영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이 12일 국무회의에서 원고에 쓰여 있던 ‘한일중’을 일부러 ‘한중일’이라고 고쳐 언급한 것도 중국에 대한 견제 수위를 관리하려는 전략적 판단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윤 대통령은 기조연설에서 ‘대한민국’을 20차례, ‘엑스포’와 ‘세계’를 각각 14차례, ‘평화’를 11차례 언급했다.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를 유치해 국제 평화를 가속하려는 글로벌 중추국가(GPS)에 대한 지향이 묻어났다는 평가다. 윤 대통령은 이날 스위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키르기스스탄, 모리타니 등 11개국 정상과 추가로 정상회담을 가지면서 방미 5일간 40개국 정상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한 달 동안 60개의 양자 회담, 10개 이상의 다자 회담을 치른 대통령은 지난 100년 동안 세계 외교사에 없었던 것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 尹 “가짜 뉴스 확산, 자유민주주의-미래세대 위협”
윤 대통령은 21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대에서 열린 ‘뉴욕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는 “디지털 심화로 나타나는 실존적 위험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문제”라며 디지털 사회의 기본 질서와 원칙을 담은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에 대한 공정한 접근과 기회의 균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 구현 등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려는 한국의 경험과 철학이 담긴다.윤 대통령은 “챗GPT를 필두로 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은 삶의 편의와 산업의 생산성을 높여줬지만, 인공지능의 신뢰와 안전에 대한 우려도 있다”며 “AI와 디지털의 오남용이 만들어내는 가짜 뉴스의 확산을 방지하지 못한다면 자유민주주의가 위협받고 미래 세대의 삶도 위협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의 보급과 활용이 미흡한 국가 ‘디지털 사우스(Digital South)’에 대해 전 세계가 함께 지원해 디지털 격차를 축소하고 국가 간의 공정한 디지털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