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모집인원 3만9635명… 대학 신입생 전체 정원의 11.4% 의대 가려고 중도이탈… “한 학과 재학생 20%이상 그만두기도”
올해 전국 4년제 대학의 편입학(정원 내) 모집인원이 총 3만9635명으로 최근 5년 새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광풍, 문·이과 통합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부작용 등이 빚어낸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 2학년 학생들이 잇달아 학업을 그만두자 대학 현장에서는 “이러다 대학 교육이 붕괴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온다.
2일 동아일보와 김영편입학원이 교육부 대학알리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학년도 4년제 대학 편입학 모집인원은 2019학년도(3만3470명)보다 6165명(18.4%) 늘었다. 대학들이 신입생 전체 모집인원(34만9124명)의 11.4%에 해당하는 학생을 편입학으로 모집했다는 의미다. 기존 대학에서 2학년 과정 수료 예정자는 편입시험을 거쳐 다른 대학 3학년에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상위권 대학은 편입생 모집 규모가 가파르게 늘었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서울 주요 15개 대학의 2019∼2023학년도 편입생 모집인원은 1943명에서 2635명으로 35.6%(692명)가 늘었다. 고려대, 연세대는 약 2배 늘었고 성균관대는 34명에서 246명으로 약 8배 뛰었다. 편입학 모집이 늘었다는 것은 대학에서 1, 2학년 재학 중 학업을 그만두는 학생이 많다는 것을 뜻한다. 매년 모든 대학은 1, 2학년 중도 탈락 규모를 조사하고, 교육부는 이를 반영해 편입생 모집인원을 산정하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 주요 15개 대학 1학년생 중도 탈락률은 지난해 9.2%에 달했다. 5만2842명 가운데 4857명이 중도 탈락했다. 1∼4학년 전체 학생의 중도 탈락률은 3.2%였다.
서울의 한 사립대 입학처장은 “의대 재도전을 목표로 재수나 반수에 뛰어드는 학생이 많아지면서 학생들이 연쇄적으로 학교를 옮기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의대 열풍으로 입시계는 대혼란”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대학 입학사정관은 “한 학과의 20% 이상이 한꺼번에 나가 버리니 폐강되는 강의가 속출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편입학 붐이 대학 교육 붕괴, 대입 재수생 양산으로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방→서울, 공대→의대 ‘편입 도미노’…“취업난속 스펙 업글”
[편입에 휘청이는 대학]
15개大 1학년 10명중 1명 이탈
의대-수도권 대학으로 연쇄이동
약대 신입생 중도이탈 25배 급증
15개大 1학년 10명중 1명 이탈
의대-수도권 대학으로 연쇄이동
약대 신입생 중도이탈 25배 급증
지난해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주요 15개 대학 1학년 재학생 10명 중 1명(9.2%)꼴로 학업을 그만두고 중도 탈락했다. 의대 열풍, 상위권 대학이나 학과에 대한 갈망 때문이다. 이는 재학생 이탈로 이어지고, 대학들은 빈자리를 편입으로 채운다. 지방대에서 ‘인(in) 서울’ 대학으로, 자연대 및 공대에서 의대나 약대로 학생들이 대거 이동하면서 도미노처럼 여파가 퍼지고 있다. 이는 다시 ‘재수 열풍’으로 돌아온다는 것이 교육 현장의 분석이다.
● 의대 열풍, 편입학 바람에 한몫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수능도 편입학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상경계나 인문계 학과로 진학한 이과 학생들 중 상당수가 적성 문제로 학업을 중단했다는 분석이 있다. 이들은 수학, 과학탐구 등 고득점에 유리한 과목에서 강점이 있는데 이를 믿고 상위권 대학 상경계, 인문계 학과에 몰렸다. 일명 ‘문과 침공’으로 불리는 현상이다. 서울의 한 대학 교수는 “경제학과 신입생 대부분이 이과생일 정도”라며 “인문대도 대학 간판만 보고 왔다가 수업에 적응하지 못해 이탈하는 학생들이 꽤 있다”고 전했다.
● 이전 정부 ‘정시 확대’도 원인으로
일각에서는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이 쉽지 않은 취업난이 한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대학 교수는 “명문대 졸업장, 의사 면허증이 아니면 기대만큼의 연봉을 받기도, 좋은 직장에 들어가기도 어렵다는 것을 학생들은 피부로 느끼고 있다”며 “졸업이 1, 2년 늦어지더라도 차라리 수능을 한 번 더 치르거나 편입을 해서 학벌을 ‘업그레이드’하자는 것이 요즘 학생들의 생존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