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7월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 제80차 회의에서 해상운송 선박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50년 무렵까지 기존 2008년 대비 넷제로(net-zero·100% 감축) 수준으로 상향 결정하였다.
글로벌 해운기업들은 대응에 분주하다. 최근 덴마크계 컨테이너 선사 머스크에서 세계 최초 메탄올 추진선을 인도받으며 메탄올 추진선의 시대를 열었다. 국적 컨테이너 선사 HMM도 올 2월 메탄올 추진선 9척을 발주하는 등 친환경 전환에 적극적이다. 결국 근본적인 대안은 친환경 선박인데, 그 비용이 높다는 점이 문제다. 메탄올 추진선의 경우 기존 선박 대비 건조 비용이 약 16% 더 높으며, 암모니아 추진선의 경우 24% 더 높다. 2월 해양수산부에서 2050년 국제 해운 탄소중립 목표를 제시하고 친환경 선대 전환 지원, 중소 선사 특별 지원 등이 포함된 4대 추진 전략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2023년 정부 친환경 선박 지원 예산이 약 130억 원에 불과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소 및 중견 선사들이 주로 운항하는 아시아 역내 항로의 경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컨테이너 물동량이 운송되는 지역이다. 최근 다수 기업이 공급망 다변화 차원에서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 및 확대하면서 그 증가세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기회를 포착한 주요 글로벌 선사들은 아시아 항로에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시도 중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 친환경 경쟁력이 낮은 국내 중소 및 중견 선사들은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
※ 동아일보는 독자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각 분야 현안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휴대전화 번호 등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이윤주 KAIST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