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수들 “실효성 없다” 한목소리
“지역 대학병원 의료진으로서 너무나 마음이 급합니다. 이대로 가면 아이가 아파도 갈 병원이 없게 됩니다.”(부산 한 대학병원 A 교수)
동아일보가 인터뷰한 지역 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들은 “젊은 의사들이 지역에서 소청과 전공의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대로 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며 한목소리로 위기감을 토로했다. 특히 2025년을 고비로 소청과 전공의 인력난이 더욱 심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부터 소청과 전공의 수련 기간을 4년에서 3년으로 줄였는데 2025년이면 3, 4년 차 전공의가 수련 과정을 마치고 동시에 전문의가 돼 빠져나간다.
소아 의료 공백 사태를 막기 위해 정부도 올해 2월과 9월 잇달아 대책을 내놓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2일 연내 소청과 진료 및 입원 수가를 올리고, 내년부터 소청과 전공의(레지던트)와 전임의(펠로)에 대해 월 100만 원의 수련 보조 수당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지혁 충북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역시 “자신의 전공을 선택할 때는 전공의 수련 과정의 어려움과 전문의 자격 획득 이후 전망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며 “한 달에 100만 원을 더 받기 위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를 선택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진들은 또 정부가 소아 응급·중환자 진료 공백을 해소하는 데 좀 더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소청과 전공의 수가 부족한 만큼 위중한 아이들부터 책임지고 돌봐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2017년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 사건 이후 신생아 중환자실·응급실 근무 기피 현상이 심화됐다. A 교수는 “중증 소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일수록 소송에 대한 심리적 압박감이 크다”며 “의료분쟁에 대한 부담을 조금이라도 감소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소영 기자 ksy@donga.com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