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용이 토해놓은 황금빛 물길… 의림지 축제, 가을을 살찌우다[수토기행]

입력 | 2023-10-14 01:40:00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인공 저수지인 의림지. 한국의 농경문화를 상징하는 곳이다.


충북 제천에는 용이 빚어낸 깊고도 넓은 연못들이 있다. 용의 머리를 닮아 용두산(龍頭山·871m)이라고 불리는 산에서 흘러내린 저수지인 의림지와 비룡담이다. 의림지는 우리나라 현존 최고(最古)의 저수지이고, 용이 승천하는 기세인 비룡담은 ‘한방 치유 숲길’로 조성된 이후 주·야간 즐겨 찾는 힐링 명소로 인기가 높다. 또 그 아래쪽 청전뜰에서는 가을의 황금빛 향연(농경문화예술제)이 펼쳐지고 있다. 용두산과 짝이 되는 의림지 남쪽의 비봉산(飛鳳山·531m)에서는 봉황의 날개를 탄 듯한 기분으로 청풍호의 이국적 가을 풍경도 즐길 수 있다.》

● 의림지의 황금빛 농경 축제

‘제2의 의림지’로 불리는 제천 비룡담 저수지. 나무 덱으로 조성한 ‘물안개길’을 걷다 보면 인공의 성 구조물 등 아름다운 포토존을 만나게 된다. 

비룡담 저수지(제천시 모산동)는 의림지 위쪽으로 약 1.5km 떨어진 곳의 인공 연못이다. 제천의 상징인 의림지보다 규모는 조금 작아 ‘제2 의림지’로 불리기도 하는데, 아름다운 경관과 쾌적한 숲길만큼은 어디에 내놔도 꿀리지 않는 곳이다. 최근 비룡담에서 그 위쪽 용두산 산림욕장까지 돌아오는 둘레길이 ‘제천 의림지 한방 치유숲길’로 조성됐다. 물안개길(2.4km), 솔향기길(6.5km), 온새미로길(2km), 솔나무길(0.5km) 등 4개 구간 총 11.4km 거리다. 산림청이 국토 녹화 50주년을 기념해 전국의 걷기 좋은 ‘명품 숲길’로 선정한 곳 중 하나다.

한방 치유 숲길 중 물안개길은 비룡담에서 출발해 한방 생태숲을 돌아 다시 비룡담으로 돌아오는 덱길 코스다. 보행 난도가 최저 수준으로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도 편하게 산책할 수 있다. 이 코스는 인공으로 만든 성 구조물 포토존으로도 유명하다. 낮에는 진초록 물빛의 비룡담에 반영(反影)으로 비치는 성 모습도 아름답거니와 밤엔 형형색색의 불빛으로 이국적인 모습으로 변한다. ‘비룡’이란 이름처럼 승천하는 용이 불길을 뿜어내는 듯한 분위기다.

의림지 내 용추폭포. 약 30m 높이에서 쏟아지는 물 소리가 마치 용울음처럼 들린다고 해서 용폭포라고 불리는 이곳엔 투명 유리전망대가 설치돼 있어서 폭포 위를 걸어가는 듯한 체험을 즐길 수 있다. 

비룡담 저수지에서 편안한 쉼과 힐링을 맛본 후 의림지 쪽으로 흘러 내려가는 물길을 따라 걷다 보면 노송 100여 그루가 솔향기를 뿜어내는 솔밭공원을 만나게 되고, 더 아래쪽으로는 의림지, 청전뜰로 이어진다.

의림지 농경문화예술제의 체험 프로그램 중 하나인 옛 탈곡기 체험 행사. 제천시 제공 

지금 의림지와 청전뜰에서는 황금빛 가을의 풍요로움을 체험할 수 있다. 제천시가 매년 개최하는 ‘의림지 농경문화예술제’(10월 13∼15일)다. 볏짚을 활용한 조형물로 꾸며진 농경 아트 퍼포먼스, 농기구와 농기계를 직접 조작해보는 농경문화 체험, 황금쌀을 받을 수 있는 보물찾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어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다.

농경문화를 체험한 후 의림지 역사박물관도 들러볼 만하다. 의림지의 역사와 구조, 생태 등을 알려주는 전문박물관이다. 현재 이곳에서는 ‘비손: 비나이다, 비나이다’라는 기획전시가 내년 1월 11일까지 열리고 있다. ‘비손’은 두 손을 비비면서 신에게 병이 낫거나 소원을 이루게 해 달라고 비는 행위다. 농경문화를 기반으로 한 우리나라 기복신앙의 면면을 구경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이번 전시에서는 운세와 길일을 점치는 책, 길상과 벽사 무늬가 있는 각종 생활용품, 가정신을 모신 단지와 항아리, 충북도 무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오티별신제 옷과 도구 등 100여 점의 유물도 선보이고 있다.

● 청풍호가 빚어낸 녹색 선경
용두산의 용이 토해놓은 곳이 의림지라면, 봉황의 시선으로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 비봉산 전망대다. 비봉산은 가운데 솟은 봉우리가 봉황의 머리, 양쪽으로 뻗은 능선이 날개에 해당해 봉황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모양새를 한 산이다. 봉황의 머리인 정상까지는 케이블카와 모노레일이 설치돼 있어서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다.

비봉산 정상에서 내려다본 청풍호의 절경. 악어처럼 생겼다고 해서 악어섬(가운데)이라고 불리는 산자락과 함께 이국적 호반 마을 풍경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정상의 전망대에서는 거대한 ‘내륙의 바다’인 청풍호(충주 쪽에서는 충주호)와 주변의 호반마을 등 이국적인 강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마치 하늘에서 지상의 선경(仙境)을 관찰하는 듯한 느낌이다.

청풍호 절경을 즐기는 또 다른 방법은 산과 청풍호를 잇는 총 58km(1∼7코스)의 산책길로 조성된 자드락길을 걷는 것이다. 자드락길은 ‘산기슭 비탈진 땅에 난 좁은 길’을 일컫는 말이다. 이 중 자드락길 6코스인 괴곡성벽길의 청풍호 전망대에서는 또 다른 경관미를 만날 수 있다. 나선형 구조인 이곳 백봉전망대에 오르면 막힌 곳 없이 펼쳐지는 시원한 전망이 압권이다. 물안개나 낮은 구름이 산 아래로 깔려 전망이 흐려져도 괜찮다. 그 자체로 신비한 선경 세계에 들어선 듯한 몽환적인 분위기가 연출되기 때문이다.

한벽루는 밀양 영남루, 남원 광한루와 함께 조선의 3대 누각으로 꼽히는 건물이다. 

북두칠성과 북극성 별자리가 새겨진 황석리 고인돌. 

인근에는 청풍문화재단지와 청풍랜드가 있어 문화와 레저 체험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청풍문화재단지 내에는 충주댐 건설로 이전해온 한벽루와 석조여래입상(보물), 팔영루, 황석리 고인돌 등이 전시돼 있다. 특히 황석리 고인돌에서는 신장 174cm의 30대 초반 남성의 뼈가 출토됐는데, 현재 한국인의 골격보다 조금 큰 북방계 인종 혹은 백인종으로 추정돼 화제가 된 바 있다. 또 이곳 고인돌 중에는 특이하게 북두칠성과 북극성이 새겨져 있는 것이 있다. 하늘과 별을 숭상하던 우리 민족의 특성을 알려주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 비보 풍수의 현장
신라 경순왕의 딸 덕주공주의 전설이 덕지덕지 묻어 있는 덕주사로 가는 길목에는 기이한 모양의 구층석탑이 서 있다.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이다. 덕주사에서 약 2km 떨어진 산길 외딴곳에 있어서 자칫 그냥 지나치기 쉽다.

네 마리 사자가 호위하듯 서 있고 가운데 두건 쓴 부처상이 인상적인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이 탑은 천년 전 ‘사자빈신사’라는 이름의 사찰이 있던 터에 세워진 화강암 탑이다. 원래는 9층이었는데 지금은 5층까지만 남았다. 석탑은 2층 기단에 4마리의 사자가 사방을 호위하듯 배치돼 있고, 탑 한가운데에는 머리에 두건을 쓴 비로자나불이 앉아 있다. 각기 다른 얼굴 표정을 짓고 있는 4마리 사자와 부처의 생김새도 이색적이거니와 섬세한 기법의 조각미가 돋보이는 석탑이다. 전남 구례 화엄사의 사사자 삼층석탑 못지않은 품격을 갖추고 있어서 ‘왜 이런 곳에 방치돼 있을까’ 싶을 정도다.

석탑에는 고려 현종 13년(1022년)에 ‘부처의 힘을 빌려 적을 물리치려는 소망을 담아 9층의 탑을 세운다’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그런데 이 석탑은 이곳 터의 거센 기운을 진압하기 위한 비보 풍수적 특징도 가지고 있다. 비보 풍수는 기운이 너무 거세거나 반대로 너무 빈약한 곳을 탑이나 돌 등으로 보완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월악산자락 덕주사 입구에 있는 3기의 남근석. 

월악산 자락의 덕주사 역시 비보 풍수의 현장이다. 절 입구에는 남근석 3기가 서 있다. 월악산의 강한 음기(陰氣)를 누르기 위한 풍수적 장치다. 남근석에서 기도를 하면 득남을 한다는 소문이 나서 아이를 원하는 여성들이 많이 찾는다고도 한다.

제천 여행의 별미는 미식이다. 제천은 충청·강원·경상 3도의 접경지인 만큼 음식문화가 발달돼 있다. 이 중 조선시대 3대 약령시 중 하나라는 자부심을 살려 ‘약채락(藥菜樂)’이라는 향토음식 브랜드가 주목을 끌고 있다. ‘약이 되는 음식을 먹으니 즐겁다’는 뜻의 약채락은 황기를 넣은 약간장, 당귀를 사용한 약고추장, 뽕잎으로 만든 약초소금 등 ‘약념(藥念)’ 이미지를 담은 양념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 제천시가 인증한 ‘제천맛집’ 등 식도락에 진심인 식당들을 골라 ‘음식 비보’를 즐길 수 있다.



안영배 기자·풍수학 박사 oj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