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전자기기를 잘 다룰 줄 아는 어르신들이 우울증 증상이 낮고 인지기능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일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에 따르면 총 7988명의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해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이 우울 및 인지기능과 연관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2022년 발표한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에서 일반인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100%로 볼 때 노인은 70%로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팀에는 아주대병원 노현웅 교수, 홍선화·남유진 연구교수, 가천대 의대 홍재우 학생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디지털 문해력을 ▲소통(디지털 기기 이용 메시지를 주고받는 능력) ▲정보(디지털 기기 이용 정보 검색 능력) ▲미디어(디지털 기기 이용 음악감상 및 영화시청 능력) ▲전자금융(디지털 기기 이용 은행 업무 및 물품 구입 능력) 등 크게 4개 범위로 나눠 분석했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3세이다. 이 중 86%는 디지털 전자금융 활용 능력 부족, 70%는 디지털 소통 능력 부족, 63%는 디지털 정보 활용 능력 부족, 60%는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 부족으로 각각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나이와 성별, 교육, 결혼, 취미, 흡연, 만성질환의 수 등을 보정했을 때 노인들의 디지털 문해력이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하고, 인지기능은 높아지는 것을 파악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노인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활성화 ▲디지털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 제공 ▲친화적인 디지털 도구 개발 ▲인지기능 향상 및 우울증 관리 등을 위한 플랫폼 제공 등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SCI 저널인 ‘정신의학 최신연구’에 ‘노인의 디지털 문해력과 인지기능 사이의 관계에 대한 우울 증상의 매개효과’라는 제목으로 9월 게재됐다.
노 교수는 “나이가 들수록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어려워하고 멀리할 수 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어르신들의 우울을 줄이고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소년이나 젊은이들의 경우 지나친 전자기기 사용이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어르신들의 경우 디지털 문해력 향상을 통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유경 동아닷컴 기자 polaris2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