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기준금리 동결에도 ‘7% 뚫은 주담대’…3억 영끌족 ‘월이자만 178만원’

입력 | 2023-10-19 13:06:00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창구의 모습.ⓒ News1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6회 연속 동결했으나, 고금리 기조는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족들의 빚 고통은 올 하반기를 넘어 내년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오히려 수차례 기준금리 동결에도 불구하고, 미국발(發) ‘긴축 장기화’ 여파로 금융채 등 시장금리가 들썩이면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는 9개월만에 다시 연 7%를 넘어선 상태다. 연 2~3%대 금리가 흔했던 1~2년 전 저금리 때와 비교하면 빚 부담이 2배 가까이 불어난 차주가 적지 않다.

금융권에선 미국이 연내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한데다 은행채 상승, 은행권 수신경쟁까지 맞물려 주담대 최고금리가 연내 8%에 근접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며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3.10.19. 뉴스1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9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3.50%로 유지했다. 2월과 4월, 5월, 7월, 8월에 이은 여섯 차례 연속 동결이다.

금리 동결 결정에는 불안정한 경기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 2분기 경제성장률이 1분기보다 개선되긴 했지만, 세부적으로는 민간소비, 투자 등 대부분이 역성장했다. 연간 성장률 전망이 1%대 초반으로 여전히 부진한 것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발 금융시장 불안의 불씨가 살아있는 것도 금리 동결의 이유가 됐다.

그러나 기준금리가 연이어 동결됐다고 해서, 당장 금리인하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한국은행은 이날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당초 예상보다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음을 시사했다. 국제유가 상승과 고환율,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등 중동 정세 불안까지, 물가를 밀어올리는 대내외 압력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19일 오전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3.50%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이로써 기준금리는 지난 2·4·5·7·8월에 이어 6회 연속 유지되고 있다. ⓒ News1

차주들의 기대와 달리 최근 시중은행 대출금리는 다시 반등하면서 이자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연 4.56~7.134%로 상단이 9개월여만에 다시 7%를 넘어섰다.

주담대 금리의 상승 압력이 커진 것은 주담대 금리의 지표가 되는 시장금리(은행채)와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 준거금리로 활용되는 은행채 1년물(무보증·AAA) 금리는 지난달(4.006%) 8개월만에 4%대로 올라섰고, 이달 18일 4.104%까지 치솟았다. 조달비용이 증가하면서 주담대 변동금리의 준거금리인 코픽스(신규취급액 기준)도 지난달 3.82%로 한 달 새 0.16%p 뛰어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은행채 발행 물량 증가로 꾸준히 오르던 은행채 금리는 미국이 최근 ‘긴축 장기화’를 시사하면서 상승 속도가 더 빨라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연내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더해 시중은행이 지난해 말 ‘레고랜드 사태’ 때 고금리로 끌어모은 예적금 만기가 대거 도래함에 따라, 재유치를 위한 은행간 수신경쟁도 치열해져 주담대 금리 상승압박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은행들은 예적금과 채권 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해 대출에 활용하기 때문에, 조달비용이 늘면 대출금리도 오를 수밖에 없다. 금융권에서 지난달부터 내년 2월까지 6개월 내 예정된 정기예금 만기 도래액은 100조원에 달한다.

은행권에선 이 같은 요인들 때문에 대출금리가 내년 초까진 꺾이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선 금리 상승세가 지속되면 7%로 오른 주담대 최고금리가 연말에는 8%에 육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약 2년 전만 해도 시중은행 주담대는 연 2~3%대 금리도 흔했다. 불과 1~2년 새 이자부담이 많게는 2배 이상 늘어난 차주가 적지 않다.

1~2년 전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전에 3억원을 연 3.5% 금리(40년 만기, 원리금균등 조건)로 빌린 경우 대출 초기 월이자 부담은 87만원이었다. 원금을 합친 원리금은 116만원 정도였다.

그러나 대출금리가 현재 은행 최고 수준인 연 7.13%로 오르면 초기 월이자는 178만원으로 2배가량 늘어난다. 원리금까지 더하면 은행에 매월 190만원을 갚아야 한다. 연간 원리금 상환액은 2280만원으로, 월급의 상당 부분을 고스란히 은행에 내야 하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금리 예금 만기와 더불어 최근 수신금리 상승은 여신금리 상승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며 “부동산경기, 물가, 미국 금리 기조, 은행채 발행 등 다양한 이슈로 인해 고금리 현상은 내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