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CCTV 치안 격차 [상] 뒤쫓는 카메라, 놓치는 카메라
동아일보DB
서울의 한 자치구 안전 담당 공무원은 한숨을 쉬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강력범죄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공원과 등산로 등에 CCTV를 설치해 달라는 주민들의 요구가 빗발치고 있는데 예산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내 공원 1763곳 중 312곳은 CCTV가 1대도 없는 실정이다. 올 8월 등산로 폭행 살인사건이 발생한 관악산생태공원의 경우 크기가 축구장(7140㎡) 10개보다 넓은 7만6521㎡(약 2만3000평)였지만 설치된 CCTV는 7대에 불과했다.
하지만 자치구에선 “예산이 충분치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공원이나 등산로 상당수는 전기와 통신 등 기초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일부 공원과 등산로는 산속에 있는데 주변에 아예 배전반이 없는 경우도 있다”며 “배전반 설치와 전선 매립 예산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했다. CCTV에서 촬영한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려면 유선통신망도 필요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올 5월 ‘정원도시 서울’을 내걸고 “공원과 녹지를 대폭 확대하고 연결해 서울 어디서나 5분 내에 정원을 만날 수 있게 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하지만 이를 두고 전문가 사이에선 “녹지만 늘리고 안전 인프라를 확충하지 않으면 자칫 공원 등이 우범지대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도선 한남대 경찰학과 교수는 “시민 여가를 위해 공원 등을 늘리는 건 바람직하지만 범죄에 취약할 수 있는 지점을 미리 파악해 지방자치단체와 경찰 등이 함께 선제적으로 CCTV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어디 있나요, 안전의 눈[인터랙티브]
https://original.donga.com/2023/cctv_seoul
QR코드를 촬영하면 동아일보 특별취재팀의 동선과 취재 내용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기획: 권기범 기자 임상아 뉴스룸 디벨로퍼(ND)
▽사진: 양회성 이한결 기자
▽디자인: 권기령 기자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임재혁 인턴기자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수료
김영우 인턴기자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