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리포트] 빈대 방역 현장 동행취재
《40년만의 습격, 빈대와의 전쟁 현장
40년 전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던 빈대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기숙사, 찜질방뿐만 아니라 가정집까지 빈대가 출몰하면서 지방자치단체마다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동아일보가 방역업체들의 ‘빈대 퇴치 현장’을 동행 취재했다.》
지난달 30일 경기 안양시의 한 가정집에서 해충방역업체 직원이 침대 매트리스에서 자외선 살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안양=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지난달 31일 인천 서구의 한 가정집. 해충방역업체를 운영하는 한호 대표(58)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이 집의 여러 방을 오가며 ‘빈대 찾기’에 열중하고 있었다. 이곳에 살던 여성은 최근 한 달 동안 빈대로 인한 피해를 견디다 못해 이 업체에 방역을 의뢰했다. 옷가지와 침구류는 물론이고 매트리스까지 바꿨지만 밤새 시달림은 이어졌다고 한다.
파란색 라텍스 장갑과 보호 신발을 착용한 한 대표는 능숙하게 이불과 매트리스 커버를 걷어내고 매트리스의 가장자리부터 손으로 훑어보며 꼼꼼히 확인했다. 빈대 배변 자국이나 사체 등이 발견되지 않자 매트리스를 통째로 옮기고 침대 틀을 분해했다.
한 대표의 휴대전화는 작업 중에도 쉬지 않고 울렸다. “몸이 계속 간지러운데 혹시 집에 빈대가 있는 게 아니냐” “빈대가 출몰하기 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느냐” 등 대부분 빈대 관련 문의였다. 한 대표는 “빈대 퇴치 작업이 오늘만 5건 예약돼 있다”며 “이번 주 빈대 퇴치 의뢰가 12건 들어왔는데 몇 달 전에 비해 2배로 늘어난 것”이라고 했다.
서울까지 번진 ‘빈대 경보’
지난달 31일 인천 서구의 한 가정집에서 해충방역업체 한호 대표가 스팀기를 이용해 침대 아래 좁은 틈새까지 고온 살균 작업을 하고 있다. 인천=최혁중 기자 sajinman@donga.com
서울에서도 빈대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각 자치구에 따르면 올 9월부터 이달 1일까지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실제로 빈대가 발견돼 방역 등 조치에 나선 경우가 8건이다. 한 방역업체 관계자는 “서울 경기 인천 가릴 것 없이 수도권 곳곳에서 빈대 퇴치 작업 문의가 쇄도하는 중”이라고 했다. 비상이 걸린 서울시는 3일 숙박시설·목욕장·찜질방 등 다중이용시설 3175곳을 대상으로 점검에 나섰다.
“1시간 넘게 방역하면 속옷까지 땀에 젖어”
지난달 30일 낮 12시 40분경 경기 안양시의 한 가정집에 방역업체 이기찬 대표(49)와 진영생 팀장(60)이 각각 가로세로 45×60cm 크기의 캐리어를 끌고 도착했다. 캐리어에는 흡착기와 침구 소독청소기, 살충제 살포기 등 다양한 도구가 들어 있었다. 직원들은 흰색 방역복과 고무장갑, 마스크까지 ‘완전 무장’을 마친 후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이날 작업은 흡착과 소독, 훈연, 살충제 살포 순으로 진행됐다. 진 씨는 먼저 흡입기로 침대에 놓인 베개 2개를 순서대로 빨아들이기 시작했다. 베개의 위와 아래, 테두리까지 쓸어내린 후 이불로 이동했다. 완전히 펼친 채 한 번, 두 번 접은 후 다시 한 번. 이어 공간 소독기로 전체적인 살균 작업을 진행했다.
40분가량 흡착과 소독을 통해 베개, 이불, 매트리스, 전기담요까지 모두 빈대 퇴치 작업을 마친 직원들은 창문을 활짝 열고 침대 위에서 피톤치드 훈연기를 작동시켰다. 냄새를 지우고 추가 살균과 소독을 진행하는 차원이다.
이어 싱크대와 수납장 등 비좁은 공간에 살충제를 살포하고 나서야 모든 방역 작업을 마쳤다. 진 팀장은 “방역 작업이 끝나면 속옷까지 다 젖을 정도”라며 “한 번 빈대가 나오면 개인이 방역하기 어려운 만큼 평소에 정기적인 소독 및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역 비용은 집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한 번에 15만 원 안팎이다.
“피 안 먹어도 최대 6개월 생존”
지난달 30일 경기 안양시의 한 가정집에서 방역복을 입은 해충방역업체 직원들이 흡착기를 이용해 침대 매트리스 위를 훑어가며 빈대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안양=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국내에서 빈대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 이후 자취를 감췄다. 위생 수준이 향상되고, 살충제 사용이 늘면서 빈대가 자연스럽게 사라진 것이다. 그러다 해외 교류가 늘며 10여 년 전부터 다시 빈대가 발견되기 시작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던 해외 여행이 재개되면서 빈대 유입이 급속도로 늘어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출몰하는 빈대들은 대부분 외국에서 입국할 때 따라온 해외 유입종으로 추정된다”며 “최근 경기 오산시에선 과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던 ‘반날개빈대’가 처음 발견됐다”고 했다. 이승환 서울대 응용생물화학부 교수는 “살충제 등에 내성이 생긴 빈대가 해외에서 유입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방역 전문가들은 빈대를 박멸하기 어려운 이유로 질긴 생명력을 꼽았다. 빈대는 인간이나 동물의 피를 먹지 않고도 최대 6개월 가까이 생존할 수 있다 보니 직접 물리거나 눈으로 발견하기 전까지는 존재를 알아차리기 어렵다. 피를 먹기 때문에 바퀴벌레처럼 다른 먹이로 유인해 퇴치하기도 힘들다. 야간 활동성 곤충이라 주로 밤이나 이른 새벽 시간대에만 활동하는 것도 눈에 쉽게 띄지 않는 이유다.
고온에 약해 스팀 소독 효과적
빈대는 고온에 약한 편이다. 이 때문에 빈대를 발견했을 경우 고열 스팀 소독을 하고 진공청소기로 남아 있을 수 있는 알과 잔해를 치운 후 오염된 옷과 침대 커버 등 직물은 건조기로 소독해야 한다. 또 살충제 등을 반드시 살포하며 물리적·화학적 방제를 병행해야 한다. 한 번 방제했더라도 남아 있는 알이 부화할 수 있기 때문에 7∼14일 이후 다시 한 번 서식지를 살펴보고 방제하는 후속 조치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김수현 기자 newsoo@donga.com
안양=강지은 인턴기자 서울대 경제학부 4학년
인천=임재혁 인턴기자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