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공급망과 기술안보 모두 잡을 ‘마더팩토리’ 키우고 늘려야

입력 | 2023-11-06 23:57:00


국내 주요 기업들이 최첨단 기술과 생산설비를 갖춘 ‘마더팩토리(mother factory)’의 국내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생산시설을 해외 곳곳에 이전하더라도 연구개발(R&D)과 시제품 생산, 양산 능력 테스트 등 핵심 역할을 맡는 모체(母體) 공장은 본국에 두는 투트랙 전략을 쓰겠다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2030년까지 경기 용인의 차세대 R&D 단지에 20조 원, SK온이 2025년까지 충남 서산에 1조5000억 원을 들여 마더팩토리를 육성키로 하는 등 반도체와 배터리 업체를 중심으로 투자가 진행 중이다.

국내 마더팩토리 육성은 첨단산업 분야의 급속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 전략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서방 강국들은 ‘자국 우선주의’와 제조업 부활 정책을 바탕으로 해외 주요 기업의 제조시설을 본국으로 빨아들이다시피 하는 중이다. 한국 기업들이 이에 부응해 대규모 현지 생산시설을 짓는 과정에서 핵심 인력과 기술, 경영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내 생산 능력이 떨어지면서 제조업 공동화가 심화할 것이라는 지적도 이어졌다.

마더팩토리가 본국에서 연구개발과 차세대 제품 생산을 총괄하게 되면 ‘프렌드 쇼어링’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숙련 인력을 육성, 유지하기 위한 핵심 거점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기업들의 계산도 다르지 않다. 대만 TSMC는 미국과 유럽, 일본에 반도체 공장을 잇달아 짓고 있지만 2나노미터 이하 공정 기술이 적용되는 최첨단 제품의 생산기지는 국내에 놔둔다. 해외 양산 공장 운영을 통해 얻는 이익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술안보 또한 양보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가속화하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 속에 한국 기업들의 해외 설비 투자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해외시장 접근에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다. 그럴수록 글로벌 기술 주도권과 생산 역량을 유지할 단단한 기반을 확보해 놓을 필요가 있다. 그 중심축이 될 마더팩토리를 키우는 일은 기술 초격차를 확보하면서 차세대 첨단기술의 빠른 상용화 등을 통해 우리의 경제 성장 동력을 높이는 길이기도 하다. 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규제 완화, 세제 지원 같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