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56년간 한 자리 지킨 해방촌의 명물[레거시 in 서울]

입력 | 2023-11-15 03:00:00

〈11〉한신옹기
1967년 문 열고 1년 365일 영업… 예전엔 항아리, 현재는 술잔 ‘인기’
“한국풍 느끼러 온 외국인이 80%”
둘째아들 부부가 가업 이을 예정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해방촌 입구에 있는 옹기가게 ‘한신옹기’에서 신연근 대표가 옹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2016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된 한신옹기는 1967년 문을 연 이후 해방촌의 명물로 자리잡으며 반세기 넘게 영업을 이어오고 있다. 작은 사진은 한신옹기의 간판.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에서 5분 정도 걷자 사람 키보다 높게 쌓인 옹기들이 늘어선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한 손으로도 들 수 있는 작은 크기부터 안에 들어갈 수 있을 만한 큰 항아리까지, 크고 작은 옹기 100여 개가 반질반질한 표면을 자랑했다. 이 지역을 상징하는 ‘1945 용산 해방촌’ 간판을 마주 보고 있는 이곳은 56년 전통의 옹기가게 ‘한신옹기’다.



● 반세기 넘게 한자리서 영업


한신옹기는 1967년 해방촌에 문을 열었다. 6·25전쟁 이후 서울역과 가까운 곳에 실향민과 이주민이 모여들며 동네가 생긴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자동차 수리공이었던 남편의 벌이가 변변치 않자 신연근 대표(87)가 지인의 권유로 시작했는데, 가게 이름도 남편(한태석)과 자신의 성을 한 글자씩 가져와 지었다.

지금은 간판 역할을 하는 노란색 글자 ‘한신옹기’ 옆에 옹기 모양 그림과 함께 ‘서울미래유산’ 표시가 붙어 있다. 가게 안으로 들어서자 메주 등을 담을 수 있는 큰 항아리부터 찻잔, 술잔 등 갖가지 옹기가 손님을 반겼다.

신 대표에 따르면 가게가 가장 잘됐을 때는 1980년대였다. 이웃에 옹기가게가 5개나 더 생겼을 정도였다. 미군부대 앞이라 부대가 오고 갈 때 컨테이너 화물로 짐을 부쳤는데, 항아리는 본국에 보내는 단골 선물이었다. 미군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이 장을 담근다며 항아리를 여러 개씩 사 가기도 했다. 신 씨는 “옹기를 팔고 받은 돈을 앞치마 주머니에 넣다 보니 앞치마가 늘어나 무거울 정도였다”며 웃었다.

세월이 흘러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미군 부대도 용산을 떠나 경기 평택시로 이전하면서 다른 옹기가게는 모두 문을 닫았다. 마지막으로 남은 한신옹기는 관광객들이 옹기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포토존이 됐다. 도자기, 술잔 등을 기념품으로 사가는 경우도 많다. 이날 가게를 찾은 독일인 관광객 비르기트 씨(55)는 “며칠 전 가게 앞을 지나다 옹기들이 진열된 걸 보고 방문했다”라며 “직접 들어와 보니 한국적인 분위기가 잘 느껴지는 것 같다”고 했다. 신 대표는 “최근 손님 10명 중 8명은 외국인 관광객”이라며 “5개들이 술잔 세트가 가장 잘 나간다”고 했다.



● 연중무휴 365일 열린 문


해방촌의 명물이 된 한신옹기는 2016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옹기라는 한 품목을 고집하며 오랜 세월 뚝심 있게 장사해 온 할머니의 정신이 깃든 곳으로, 빛바랜 간판과 가게의 풍경이 지나온 세월을 깊이 느끼게 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신 대표에게 오랜 세월을 함께한 옹기는 자신의 분신과도 같다. 귀한 옹기를 찾아온 손님을 헛걸음시키면 안 된다는 생각에 개업 때부터 지금까지 1년 365일 가게 문을 열고 있다. 그는 “남편과 일찍 사별한 후 옹기를 팔며 6남매를 키웠다”며 “그야말로 옹기와 인생을 함께한 것”이라고 했다. 신 대표가 은퇴한 후에는 2002년 가게 소유권을 이전받은 둘째아들 부부가 가업을 이을 예정이다.

이날 가게에 들른 신 대표의 중학생 손자 한정원 군(15)은 “한신옹기를 모르는 친구들도 ‘해방촌 장독대 담벼락’ 앞에서 만나자고 하면 다 안다”며 “오랜 세월 가게를 이어온 할머니가 자랑스럽다”고 했다.



전혜진 기자 sunris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