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체 일자리 341만~398만개…전체의 12~14% 고학력·고소득 일자리 AI 대체 가능성 높아 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의 변화 필요
AI(인공지능)가 대체 가능한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최대 14%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사와 회계사, 변호사 등 분석 업무를 주로 하는 일자리가 AI로 대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AI 활성화에 따라 근로자들에게 팀워크와 의사소통 능력 중심의 교육 및 직업 훈련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
한국은행은 16일 ‘AI와 노동시장 변화-BOK 이슈노트’를 발간했다. 작성자는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과 한지우 조사역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일자리 중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큰 일자리는 약 341만 개로 전체 일자리의 12%로 추정된다. 이는 AI 노출 지수 상위 20%에 해당하는 직업을 식별하고 종사 근로자 수를 더한 결과다. 임계점을 상위 25%로 확대할 경우 해당 일자리는 약 398만개로 전체 일자리의 14%로 늘어난다.
특히 고학력·고소득 일자리의 AI 대체 위험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AI가 비반복적인 분석 업무를 대체하는 데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부 직업으로는 의사와 회계사, 자산운용가, 변호사 등이 AI 노출도가 높은 직업군의 대체 가능성을 높게 봤고, 기자와 성직자, 대학교수, 가수 등을 낮게 봤다.
오 팀장은 AI 도입은 대체 가능성이 큰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AI 노출 지수가 10% 높을 경우 관련 일자리의 고용 비중은 7%포인트 줄어들고 임금 상승률이 2%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AI 도입에 따라 교육 및 직업훈련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AI는 반복적 업무뿐만 아니라 기존 기술로는 한계가 있는 인지적 업무까지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회적 기술과 팀워크 능력, 의사소통 능력 등의 기술이 더 많은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오 팀장은 “AI 기술이 업무와 생활의 편리성을 가져다주지만, 소비자 후생 감소, 이윤 독점 심화 등의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AI가 적절한 규제 속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