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네이버, ‘3차 댓글’ 도입 나흘만에 철회

입력 | 2023-11-21 03:00:00

‘총선 앞 온라인 비방 확산’ 지적에
“뉴스 페이지뷰 늘리기 전략” 비판도



3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의 모습. 2023.2.3/뉴스1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의 대댓글에 대한 답글(3차 댓글) 기능을 도입 4일 만에 철회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온라인 공간에서 이용자 간 비방이 확산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대댓글은 댓글에 댓글을 단 것을 뜻한다.

네이버는 20일 뉴스 서비스 공지를 통해 “앞서 선보인 뉴스 댓글 내 인용답글(대댓글의 답글) 작성 기능과 관련해 부작용을 둘러싼 우려가 있어 제외한다”며 “아직 사용자 경험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조기 종료로 이용자에게 혼선을 드리게 돼 죄송하다”고 밝혔다. 이어 “댓글에 대한 일반 답글 작성은 16일 이전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16일부터 뉴스 서비스에서 대댓글에도 답글을 달 수 있는 기능을 선보였다. 이 답글엔 대댓글의 원문도 함께 표시되도록 했다. 네이버 내부에선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 글로벌 플랫폼처럼 이용자들이 더 자유롭게 댓글을 남기면서 의견을 나누는 효과를 기대했다. 네이버의 기대와 달리 정보기술(IT) 업계와 정치권에선 온라인 공간에서 이용자 간 비방이 늘어나고 특정 사회 현안과 관련한 논쟁이 과도하게 불붙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네이버의 댓글 정책이 선거 기간에 뉴스 서비스의 ‘페이지뷰(PV)’를 늘리기 위한 전략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네이버는 2018년 매크로(자동 반복)를 악용한 ‘드루킹 사건’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댓글 정책을 개편해 왔다. 악성 댓글에 시달린 유명인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터지자 2020년엔 연예와 스포츠 관련 뉴스 댓글 기능을 중단하기도 했다.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사이트 ‘다음’은 6월 뉴스 서비스 댓글 기능을 폐지했다. 그 대신 실시간 대화 형태 서비스를 도입해 기사가 포털에 올라온 뒤 24시간이 지나면 이용자들이 나눈 모든 대화 기록이 사라지도록 했다.


지민구 기자 waru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