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광대다.” 영국의 전설적인 록 스타 데이비드 보위가 1976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보위보다 76년 앞서 태어난 프랑스 화가 조르주 루오는 광대 그림으로 유명하다. 평생 100점이 넘는 피에로를 그렸다. 루오에겐 광대가 어떤 의미였을까?
‘피에로(1937년·사진)’는 루오가 66세 때 그린 것으로 화가로서의 경력이 절정에 달하던 시기에 제작됐다. 하얀 옷을 입고 하얀 머리띠를 두른 피에로는 크고 퀭한 눈으로 먼 데를 응시하고 있다. 슬픈 표정으로 상념에 빠진 듯한 그의 뒤로 등대가 있는 바다 풍경화가 걸려 있다.
피에로는 16세기 이탈리아 희곡에 나오는 등장인물인 페드롤리노에서 유래했다. 17세기 이후 파리에서 공연이 성행하면서 어릿광대의 대표적 캐릭터가 되었다. 피에로는 슬픈 광대이기 때문에 절대 웃지 않는다. 우스꽝스러운 행동으로 타인을 웃게 할 뿐이다.
가수 보위가 자신을 무대 위의 광대로 여겼다면, 화가 루오는 고통에 빠진 고뇌하는 보편적 인간상으로 광대를 그렸다. 광대는 자신의 진짜 모습을 숨기고 연기하는 배우이자, 고통 속에 살아가는 보통의 인간인 것이다. 살았던 나라와 시대는 달랐지만 두 예술가가 전하는 메시지는 같아 보인다. 어쩌면 우리 모두 다 광대다.
이은화 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