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2인이상 가족 지원’ 불만 많고 귀농-귀촌 줄지만 1인 비율은 늘어 지원 조건 완화해 인구유치 경쟁
2일 에이팜쇼 귀농·귀촌 설명회에 나선 최민규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대표강사.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혼자 귀농하는 사람을 위한 프로그램이 많아 적응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경북 포항시 해병대 1사단에서 직업군인으로 13년간 복무하고 전역한 우정호 씨(40)는 2019년 귀농지를 찾기 위해 여러 지방자치단체를 생각하다 연고가 없었던 경남 밀양시를 택했다. 우 씨는 “처음 귀농지를 정할 때만 해도 1인 귀농·귀촌인 지원 프로그램이 있는 곳이 많지 않았는데 밀양이 비교적 충실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고 했다. 우 씨는 밀양에서 결혼한 뒤 자녀 2명을 낳아 4인 가족을 이뤘다. 또 최근엔 특용작물 초피나무 열매를 재배해 올해 일본 수출에도 성공했다. 그는 “1인 귀농·귀촌인에게 가장 필요한 건 정착할 지역에 대한 정보와 인적 네트워크”라고 강조했다.
소멸 위기에 놓인 지자체들이 최근 우 씨 같은 ‘1인 귀농·귀촌인’ 유치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가족 단위 귀농인을 유치하기 위해 ‘2인 이상’에 대해서만 정착을 지원하던 지자체 중에서도 조례 등을 바꾸며 진입 장벽을 낮추는 곳들이 나타나고 있다.
충북 보은군도 올 9월 조례를 개정해 1인 가구 귀농·귀촌 지원을 강화했다. 기존 2인 가구 이상, 2년 이상 거주로 제한했던 지원 대상을 1인 가구, 6개월 이상 거주로 완화한 것이다.
지자체가 1인 귀농·귀촌 유치에 공을 들이는 건 최근 귀농·귀촌인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1인 귀농·귀촌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올 6월 발표한 ‘2022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 가구는 1만2411가구로 전년도(1만4347가구)에 비해 13.5% 감소했다. 1인 귀농도 줄긴 했지만 전체 중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보다 0.8%포인트 늘어난 75.3%였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3년 57.8%였던 것에 비하면 9년 만에 17.5%포인트나 증가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1인 귀농이 대세가 된 만큼 지자체들이 나 홀로 귀농인에 대한 인적 네트워크 제공 등 실효성 있는 전입 유인책을 내놓아야 지방소멸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문호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착 초기 귀농인이 농지와 주택을 매입할 때 한눈에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며 “혼자 귀농한 경우 초기 정착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편의시설을 늘리고 필요한 도움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멘토링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밀양=도영진 기자 0jin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