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
드론으로 촬영한 광양시 광양만 일대. 정유재란 당시 최후의 격전지였던 이곳은 광양시와 여수시를 잇는 이순신대교(가운데)가 당시를 기념하듯 웅장하게 서 있다.
《‘철의 도시’ 전남 광양이 역사적 스토리를 품은 문화 관광지로 부상하고 있다. 광양 앞바다는 이순신 장군이 임진·정유 7년전쟁을 끝내기 위해 하늘에 목숨을 건 맹세를 한 곳이자, 민족시인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세상에 빛을 볼 수 있도록 육필 원고를 보관해 온 곳이기도 하다. 통일신라 말 도선국사의 자취가 담긴 옥룡사지 동백숲 또한 눈이 부시도록 반짝거려 겨울 산책 코스로 인기가 높다.》
● 정유재란 최후·최대의 전쟁터
1598년 12월 16일 초겨울 새벽. 전남 광양의 앞바다는 폭풍전야처럼 고요했다. 그러나 잔잔한 바다 물결과는 달리 조선 판옥선 함대에는 한껏 당긴 활시위처럼 팽팽한 긴장감이 흘렀다. “오늘 진실로 죽음을 각오하오니, 하늘에 바라옵건대 반드시 이 적을 섬멸하게 하여 주소서.”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목숨을 걸고 하늘에 맹세했다. 이어 일본 함대와 최후의 결전이 벌어졌다. 임진·정유 7년전쟁의 최대 규모 결전이 광양만 바다에서 전개됐던 것이다. 전남 광양시 구봉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일몰 풍경. 햇빛을 받아 영롱히 반짝이는 동백잎이 인상적인 이곳은 야경 명소로도 인기가 높다.
순천에서 남해까지 20여 km에 이르는 바다에서 치러진 전쟁을 ‘광양만 해전’이라고도 부른다. 이순신 장군이 순천왜성 앞바다에서 일본 군과 전투를 벌인 이후 남해군 노량 앞바다 전투에서 사망하기까지 60여 일간 지속적으로 이어진 해상 전쟁이기 때문이다. 일본 측은 이순신 장군이 노량해협에서 일본 함대와 전투를 벌이는 틈을 타 고니시 유키나가 군이 순천왜성에서 도망할 수 있었던 이 전쟁에 대해서만 유일하게 패배를 인정한다. 우리가 임진·정유 7년전쟁을 ‘이긴 전쟁’이라고 규정하는 것도 광양만에서의 장군의 숭고한 희생 덕분이다.
구봉산 전망대의 메탈아트 봉수대.
● 백두대간 끝에서 부활한 윤동주의 시혼(詩魂)
윤동주 시인의 유고를 보관해 온 정병욱 가옥.
백두대간의 북쪽 끝인 북간도 룽징(龍井) 출신인 윤동주의 시혼(詩魂)이 백두대간의 남쪽 끝자락인 망덕산의 정병욱 가옥에서 살아났다는 점이 이채롭다. 망덕포구에는 윤동주의 시를 모티브로 한 여러 조형물들이 설치돼 있어 발길을 멈추게 한다. 최근 영국 국왕 찰스 3세가 버킹엄궁에서 개최한 윤석열 대통령과의 국빈 만찬 중 낭송했던 윤동주의 ‘바람이 불어’ 시비도 새겨져 있다.
‘별헤는 다리’(왼쪽)와 ‘해맞이다리’(오른쪽)로 연결된 배알도(가운데)는 정원으로 꾸며져 놀멍, 물멍 명소로 인기를 끈다.
‘해맞이다리’. 왼편 멀리 ‘별헤는 다리’가 보인다.
● 옥룡사지의 동백숲 산책로
백계산(505m)의 옥룡사지 동백숲도 빼놓을 수 없는 역사 산책로다. 옥룡사지 주변에는 수령 100년 이상의 동백나무 1만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동백나무 군락지(천연기념물 제489호)다.비보풍수는 특정한 땅에 그에 어울리는 특정한 나무나 화초류 등을 심고 가꿈으로써 활성화한 땅 기운(지기·地氣)이 사람에게 이로움을 제공하는 환경적 행위를 가리킨다.
기자조선을 세운 기자가 조선의 평양 땅에다 버드나무를 심게 했다는 일화도 그런 예다. 기자는 조선의 풍속이 너무 강하고 모진 것을 보고 평양의 백성들에게 버드나무를 심도록 장려했다. 이는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버드나무를 심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인심을 순화시키는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이었다. 평양을 버드나무 유(柳) 자를 써서 ‘류경(柳京)’으로 부르는 배경이다. 마찬가지로 동백꽃은 지고한 사랑, 생명의 영속성과 순환 등을 상징한다고 한다. 도선국사는 백두대간의 끝자락에 해당하는 이곳에서 우리나라 지기가 순환을 통해 영원히 이어지도록 염원하는 차원에서 동백나무를 심었던 것일까.
도선국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한 옥룡사에서 35년간 머물다 입적했다고 전한다. 번성했던 사찰은 1878년 화재로 폐허가 됐고 당시 심었다는 동백나무만이 무성하게 숲을 이루고 있다.
동백숲이 조성된 옥룡사지(위쪽 원형 빈터)와 운암사.
옥룡사지와 소망의 샘(아래).
안영배 기자·풍수학 박사 ojo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