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고혈압을 앓거나 약물 오래 노출땐 위험 만성콩팥병 진행 단계 따라 치료·관리법 달라 만성질환자 기능저하 빨라 체계적 관리 관건
콩팥(신장)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콩팥병 환자가 10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당뇨병·고혈압 등 만성질환자는 콩팥 내 혈관 손상으로 기능 저하가 가속화될 수 있어 상태에 따라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약 11%(남자 10.4%·여자 11.8%)가 만성콩팥병 환자인 것으로 추정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를 보면 국내에서 만성 콩팥병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2년 13만7003명에서 2022년 29만6397명으로 10년간 2배 넘게 증가했다.
콩팥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3개월 이상 손상이 갈 경우 만성 콩팥병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 콩팥병은 사구체 여과율에 따라 1기에서 5기로 나뉜다.
이상호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정상인도 40대 이후부터는 매년 사구체 여과율이 노화로 인해 감소하게 된다“면서 ”하지만 혈관에 손상을 유발하는 당뇨병, 고혈압을 오래 앓거나 콩팥에 손상을 유발하는 사구체신장염이 있으면 기능 저하가 더 빨리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낭성신증과 같은 유전질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일부 항생제 등 약물이나 헤비메탈 등 독성 물질에 오랜 시간 노출될 경우에도 콩팥에 손상이 갈 수 있다.
만성콩팥병 치료는 진행 단계에 따라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
1~2단계에서는 원인 진단과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가장 많은 원인이 되는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콩팥 손상의 위험 요인인 흡연, 비처방 약물 사용 등을 줄이는 생활 습관 개선도 필수이다. 이 시기에는 정기적인 혈액 및 소변검사를 통해 콩팥 기능을 관리해야 한다.
콩팥 기능을 잃게 되는 말기 신부전(만성 콩팥병의 5단계)으로 진행되면 투석(透析) 치료 또는 콩팥이식 등 신(腎) 대체 요법을 받아야 한다. 투석을 받는 환자들은 특별한 식사와 약물 관리가 병행돼야 하고 심혈관 합병증, 뼈와 미네랄 이상, 빈혈 등의 집중적 관리도 받아야 한다.
이 교수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해진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한다”면서 “일부 약물의 경우 콩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남아 있는 콩팥 기능에 따라 피해야 할 약물을 잘 알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건강식품이나 보조제 역시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은 콩팥의 추가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혈압을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염식은 반드시 필요하고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혈당 조절이 중요하다. 혈당을 정상 범위 내에 유지하면 콩팥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늦출 수 있다. 체중 관리는 혈압과 혈당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려면 균형 잡힌 식단과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
일상생활 중 저염식과 체중 관리를 위한 식사요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또 콩팥 기능이 떨어지는 정도에 따라 단백질, 칼륨, 인 등은 특정 영양성분의 섭취를 제한해야 할 수 있다. 하지만 남은 콩팥의 정도에 따라 환자별로 제한의 정도가 달라 반드시 전문가의 조언을 따라야 한다.
[서울=뉴시스]